한수원·가스공사 등 재무위험 공기업, 34조 '재무 다이어트' 나선다

입력 2022-08-31 15:16:52

기재부 '2022∼2026년 재무위험기관 재정 건전화 계획'
14개 기관, 5년간 34조원 건전화

기재부 제공.
기재부 제공.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가스공사 등 재무위험기관으로 분류된 14개 공기업이 향후 5년간 34조원 규모의 '재무 다이어트'에 돌입한다.

이 기관들은 사옥·사택 등 자산을 팔고 해외 사업 지분을 정리하는 등 재정 건전화를 추진해 올해 350%에 육박하는 부채비율을 2026년에 265%까지 낮출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31일 최상대 2차관 주재로 열린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이러한 내용의 '2022∼2026년 재무위험기관 재정 건전화 계획'과 '2022∼2026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을 보고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수익성이 악화하거나 재무구조가 취약한 공공기관 14개를 재무위험기관으로 지정했다.

재무위험기관으로 지정된 한수원, 가스공사를 비롯해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14개 기관은 5년간 총 34조원의 부채 감축·자본 확충을 추진하는 내용의 재정건전화계획을 수립해 이번에 발표했다.

34조원 규모 '재무 다이어트'는 자산 매각(4조3천억원), 사업 조정(13조원), 경영 효율화(5조4천억원), 수익 확대(1조2천억원), 자본 확충(10조1천억원)을 통해 추진된다.

재정건전화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면 올해 345.8%인 14개 기관 부채비율은 5년간 매년 9∼34%포인트(p)씩 하락해 2026년 265.0%까지 내려가게 된다.

이 가운데 한수원은 부채비율을 올해 153.7%에서 2026년 160.6%로 부채 증가 속도를 늦추고 가스공사는 부채비율을 올해 437.3%에서 2026년 196.9%로 대폭 낮추는 등 200% 아래로 관리한다.

14개 기관 부채규모는 올해 434조2천억원에서 2026년 478조6천억으로 44조4천억원 늘어난다는 게 기존 전망이었으나, 재정 건전화 계획을 추진하면 2026년 453조9천억원으로 증가 폭이 23조원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올해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 대상 39개 기관 부채 규모가 전년보다 82조2천억원 늘어나는 등 재무 상태가 악화했는데, 이는 연료 가격 급등에 따른 사업비용 증가와 에너지 전환·서민금융 지원 등 신규정책 반영 때문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