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발(發) 악재 쏟아지지만 반사이익 극대화 못하는 민주

입력 2022-07-27 15:47:27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의원이 2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통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의원이 2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통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권발(發) 잇단 악재로 야당의 반사이익이 기대되고 있지만, 전당대회 국면에 따른 당력 분산으로 그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은 최근 정부여당에서 터져 나오는 각종 논란을 고리로 윤석열 정부 초반 국정 주도권을 확실히 가져오겠다는 자세다. 특히 지난 26일 윤 대통령이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내부 총질하던 당대표"라는 표현을 사용한 문자 메시지까지 언론에 공개되자 공세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 올렸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27일 비대위 회의에서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자기 당 집권당 대표를 제거하고 나서 기분 좋아서 권한대행에게 이런 문자를 보낼 정도로 대한민국이 한가하느냐"며 "대통령이 이런 데만 관심을 두니 민생과 경제가 더욱더 어려워지는 것"이라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이런 대통령에게 과연 희망이 있을지, 저는 회의적"이라며 "민생과 경제에 보다 전념하시고, 국민의힘 정치에, 국민의힘 내부 권력 싸움에 대통령이 너무 깊게 관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지적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석 대표 징계, 경찰국 신설 논란, 민생위기 등 야당으로선 호재(?)가 쏟아지고 있지만 민주당이 누리는 반사이익이 그다지 많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력을 집중해 여당에 파상공세를 퍼부어야 할 시기에 공교롭게도 전당대회 레이스가 시작되면서 단일대오 구축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당 대표 선거는 물론 최고위원 선거까지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가 맞붙으며 총구를 내부로 돌린 셈이다.

정치권에선 행정안전부 내 경찰국 신설에 대한 야당의 반대도 국민들의 호응을 충분히 이끌어내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정치권 관계자는 "야당은 정부와 경찰의 갈등을 오히려 조장하는 듯한 모습"이라며 "집권여당 실정에 의한 지지율 반등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민생을 전면에 내세우며 새로운 아젠다를 제시했을 때 비로소 진짜 지지율 상승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