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자체 기술' 천명 22년 만에…세계 8호 초음속기 개발국 등극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초음속 전투기 KF-21(보라매)이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방위사업청은 19일 오후 KF-21 시제기가 개발업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 인근의 경남 사천 공군 제3훈련비행단 활주로에서 이륙해 시험비행을 마치고 무사히 착륙했다고 밝혔다.
KF-21은 이날 오후 3시 40분쯤 이륙에 성공했으며, 오후 4시 13분쯤 지상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33분간 창공을 누비면서 기본적인 기체 성능 등을 확인했다.
첫 비행에서는 초음속까지 속도를 내지 않고 경비행기 속도인 시속 약 400㎞(200노트) 정도로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청은 "KF-21이 최초 비행에 성공했다. 최초 비행을 통해 한국형 전투기 개발은 비행시험 단계에 돌입하게 됐다"면서 "앞으로 2천여 회에 달하는 비행시험을 통해 비행 영역을 확장하고, 각종 성능 확인 및 공대공 무장 적합성 등을 확인하면 2026년 체계개발이 종료된다"고 밝혔다.
이날 역사적인 시험비행은 한국형 전투기 통합시험팀 소속, 공군 제52시험평가전대 시험비행 조종사인 안준현 소령이 수행했다.
시험비행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11월 '첨단 전투기' 자체 개발을 천명한 지 약 22년 만에 이뤄졌다. 지난 2002년 KF-16을 능가하는 전투기를 개발하는 장기 신규 소요를 결정한 지 20년 만이다.
사업 타당성 분석, 탐색개발, 작전요구성능(ROC) 및 소요량 확정 등을 거쳐 방위사업청은 2015년 12월 KAI와 체계개발 본계약을 체결하고 이듬해 1월 체계개발에 착수했다.
지금까지 초음속 전투기를 개발한 국가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프랑스, 스웨덴, 유럽 컨소시엄(영국·독일·이탈리아·스페인)뿐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8번째로 초음속 전투기를 개발한 국가로 기록됐다.

방사청은 이날 시험비행은 4.5세대 첨단 전투기의 국내 개발 능력을 보여준 순간으로, 한국형 전투기 개발 성공에 성큼 다가가 국내 항공 기술의 새로운 도약과 '첨단 강군'으로의 비상을 상징한다고 평가했다.
류광수 KAI 고정익사업부문장 부사장은 "KF-21 보라매가 한국의 항공산업 발전과 대한민국 공군의 자주 국방력 강화를 위한 우리 모두의 염원을 안고 오늘 역사적인 최초 비행에 성공했다"면서 "지난 2002년 T-50의 꿈을 이루었고, 20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기적을 이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