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를 소중히 여겼던 성리학의 나라 조선에서는 역모나 패륜과 연루되면 읍호를 강등하는 건 물론 지명을 바꾸기도 했다. 우리 지역에서도 순흥도호부가 조선 세조 때 사라졌다. 단종 복위를 도모했다는 금성대군을 역모죄로 엮으면서다. 이름을 다시 찾기까지 226년이 걸렸다.
잦은 지명 교체의 끝판왕은 충청도다. 100여 년(1505~1612년) 동안 지명이 여덟 번 바뀐다. 1505년 연산군 때 환관 김처선이 임금의 폭정을 비판하다 양자 이공신과 함께 죽임을 당한 뒤 이공신의 고향인 청주목이 폐지돼 충공도로 바뀐 게 시작이었다. 이후 충주와 공주도 번갈아가며 곤욕을 치렀다. 청공도, 청홍도, 충홍도, 공충도로 이름이 바뀌는 등 숱한 지명 교체를 겪었다.
생긴 대로 붙은 지명이 오래 기억된다. 조정래의 소설 '아리랑'에 "걸어도 걸어도 끝도 한정도 없이 펼쳐져 있는 들판" "어느 누구나 기를 쓰고 걸어도 언제나 제자리에서 헛걸음질을 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만드는 벌판"이라 묘사된 곳은 전북 김제시 광활면이다. '광활하다'는 말 그대로다. 언덕 하나 없는 김제·만경평야의 일부다.
사람도 그렇다. 습성이나 행동을 동물에 빗대 붙인 별칭은 선명한 잔상을 남긴다. 산을 잘 타는 이에게 '날다람쥐', 헤엄을 잘 치는 이에게 '물개'는 기예 인증서나 다름없다. 서술적 예칭(譽稱)도 있다. 김훈 작가는 산문집 '연필로 쓰기'에서 1·4 후퇴 때 내려왔다는 장기판의 고수 최 씨 노인을 '상(象) 잘 쓰는 사람'으로 듣고 기록했다. 사실만 전하지만 고수의 기운이 묵직이 실린 호칭이다. 상대의 본진을 유린하던 '상'(象)이 최 씨 노인을 기억하는 이들의 뇌리를 휘저을 것이 분명하다.
춘천에 '손흥민 거리'를 만들자는 제안이 있었다. 손 선수의 아버지 손웅정 씨는 "그럴 만한 인물이 못 된다"고 답했다. 자신의 이름을 남기려 아웅다웅 다투던 노욕의 낯 뜨거운 작태와 대조된다. 축구 스타의 이름을 딴 거리명이 없는 것도 아니다. 경기 김포 이회택로, 수원·화성 동탄지성로가 있다. 손 씨의 겸양에 "복숭아와 오얏꽃이 스스로를 아름답다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꽃을 보기 위해 그 아래에는 길이 저절로 생긴다"(桃李不言 下自成路)는 말이 겹친다. 실력은 이름을 알릴 뿐, 이름을 빛내는 건 겸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