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與, 이준석 활용 뒤 '팽'…차기 전대서 安 앉히려는 의도"

입력 2022-07-08 09:06:36 수정 2022-07-08 09:08:03

"前정권 때리는 신색깔론 성공한 적 없어"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개회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개회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8일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이준석 대표 당원권 정지 6개월의 중징계를 한 것과 관련 "(여권이) 선거에서 이 대표를 활용하고 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철수 의원을 당 대표로 내세우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우 위원장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왜 이 시점에서 (징계를 하는 것인지) 정치적 의도를 읽어야 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우 위원장은 "대선 때 윤석열 대통령과 안철수 의원이 단일화를 할 때부터 '안 의원이 정부 구성에는 참여하지 않지만 당은 안 의원이 책임지게 해준다'와 같은 밀약이 있었다고 강하게 의심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눈엣가시가 됐던 이 대표를 이런 문제(성 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를 빌미 삼아 '팽'하고, 그 후 전당대회에서 안 의원을 (당 대표로) 앉히려는 게 아닌지 의심된다"고 했다.

우 위원장은 국가정보원이 박지원·서훈 전 국정원장을 고발한 것에 대해서는 "비상식적인 일이다. 뭔가 음모와 계략이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우 위원장은 "어제 박 전 원장 등과 통화해봤는데, 결국 본질은 국가기밀 삭제가 아니고 첩보 유통망 정비가 있었던 것"이라며 "첩보를 생산하고 너무 많은 기관과 공유를 하면 밖으로 샐 수 있으니 기밀 관리 차원에서 정비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정원을 전면에 내세워 정치공작을 하려는 듯한 느낌"이라며 "신색깔론이 전 정권을 때리기는 좋지만, 과연 이런 식의 사정정국 조성이나 보복수사가 성공한 적이 있나. 큰 경제위기가 오고 있는데 전 정권 공격에만 집중해 복합위기를 극복할 수 있겠나"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