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구의 62%가 땅주인…작년보다 소폭 늘었다

입력 2022-07-04 11:09:16

국토부, 작년 말 기준 토지소유현황 통계 발표

아파트 매매 시장이 극심한
아파트 매매 시장이 극심한 '거래 절벽' 지속으로 역대급 침체 수렁에 빠졌다. 반면 사실상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하지 않는 아파트 교환, 증여, 직거래, 임대차 재계약 등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며 공인중개사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사진은 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연합뉴스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62%가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는 전체의 35.8%인 1천851만명이 땅을 갖고 있었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12월 말 기준 지방자치단체 등에 등록된 지적공부 정보를 기초로 전국의 토지소유현황을 파악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 2천347만가구 중 61.7%에 해당하는 1천449만가구가 토지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의 61.2%와 비교해 0.5%포인트(p) 상승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체 주민등록인구 5천164만명 중에는 35.8%인 1천851만명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개인이 소유한 토지를 지목별로 보면 임야가 2만6천831㎢(57.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이어 농경지 1만6천32㎢(34.6%), 대지 2천551㎢(5.5%) 등의 순이었다.

개인 토지 소유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29.6%로 가장 많았고 50대(22.7%)와 70대(19.3%)가 그 뒤를 이었다.

60대와 80대 이상의 소유 비율은 늘어나는 반면 50대 이하의 토지 소유 비율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토지 중에는 개인 소유 토지가 4만6천445㎢(75.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법인 소유는 6천965㎢(11.4%), 비법인 소유는 7천783㎢(12.7%)였다.

개인 소유 토지는 전년 대비 0.1% 증가했고, 법인 소유 토지와 비법인 소유 토지는 각각 1.7%, 0.4% 늘어났다.

용도지역별로 보면 개인 소유 토지는 농림지역이 48.5%(2만2천525㎢)로 가장 많았고, 법인 소유 토지 중에는 농림·관리지역이 58.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비법인 소유 토지 중에서는 녹지·관리·농림지역이 전체의 90.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토지거래 회전율은 세종 5.1%, 경기 5.0%, 충남 3.8% 순으로 높았다. 서울은 1.0%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전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