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이후 단체장이 바뀐 일부 지역에서 전임 단체장의 역점 사업에 제동을 거는 움직임이 잇따르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경북 구미다. 구미는 4년 전 대구경북에서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 소속 단체장을 배출한 곳이다. 이번엔 국민의힘 김장호 후보가 구미시장에 당선되면서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문제'가 난관에 부딪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 당선인이 사실상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 무효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선거 전부터 재검토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세용 시장과 취수원 문제를 두고 대립한 김 당선인은 70%가 넘는 득표율을 얻었다.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재검토의 명분이 생긴 셈이다. 지역 최대 현안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문제가 우여곡절 끝에 해결점을 찾았지만 사업이 추진 동력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낙동강 상류 지역 물 문제는 1991년 페놀 사태 이후 30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였다. 이 협정으로 구미 해평취수장을 대구경북이 공동으로 이용하게 돼 페놀 사태 이후 깨끗한 먹는 물 확보에 사활을 걸었던 대구의 숙원을 풀 수 있게 됐다.
김 당선인이 무조건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문제를 반대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차기 구미시장으로서 협정에 반대하는 시민의 여론을 거스르기 힘든 입장도 이해한다. 물 문제는 대구와 구미가 상생발전하는 방향으로 논의돼야 한다는 것이 김 당선인의 주장이다. 구미 발전을 위해 통 큰 보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도 공감이 간다. 그렇다고 해서 구미 해평취수장의 대구 공동 이용 협정이 흔들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김 당선인은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문제를 이성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합의한 협정을 파기해서는 곤란하다. 전임 단체장의 역점 사업인 해평취수장 대구 공동 이용 협정 폐기 여부를 독단적으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 시민단체와 전문가, 주민들과의 소통과 논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부는 구미 발전을 위해 통 큰 지원책을 내놔야 한다. 낙동강 수계 취수원 다변화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다. 구미 해평취수장의 대구 공동 이용 협정이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정부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가 더 협력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