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지난달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2년 2개월 만

입력 2022-05-31 08:24:27

통계청 산업활동동향, 생산 0.7%↓·소비 0.2%↓·투자 7.5%↓

때 이른 더위와 강수량 급감 등의 영향으로 농산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가격은 줄줄이 상승했다.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배추, 얼갈이 배추, 무, 잎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사진은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채소 판매대. 연합뉴스
때 이른 더위와 강수량 급감 등의 영향으로 농산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가격은 줄줄이 상승했다.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배추, 얼갈이 배추, 무, 잎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사진은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채소 판매대. 연합뉴스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년 2개월 만의 '트리플 감소'다.

31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4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6.4(2015년=100)로 전월보다 0.7%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올해 1월(-0.3%), 2월(-0.3%) 연속 감소한 뒤 3월(1.6%) 반등했으나 4월에 다시 꺾였다.

제조업(-3.1%)을 비롯한 광공업(-3.3%), 공공행정(-4.3%) 생산이 줄어서다. 다만 서비스업(1.4%)과 건설업(1.4%)은 늘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4월 119.7(2015년=100)로 전월보다 0.2% 줄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올해 1월(-2.0%) 감소한 뒤 2월에는 보합을 보였고, 3월(-0.7%)과 4월 두 달 연속으로 감소했다.

설비투자도 전월보다 7.5% 줄었다.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줄어든 것은 2020년 2월 이후 26개월 만이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2.1로 전월보다 0.3포인트(p) 내렸다. 3월에 이은 두 달 연속 하락이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3으로 0.3포인트(p) 하락해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광공업 생산이 조정을 받으면서 전체 생산이 하락 전환했고 소매판매와 설비투자 등 내수지표도 다소 부진했다"며 "전체적으로 경기 회복과 개선 흐름이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