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현 농협 창녕교육원 교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이 진정 필요한 곳은 바로 농업이다."
미국의 농기계 전문업체인 '존디어'의 자미 힌드먼 최고 기술책임자가 한 말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이른바 식량 위기에 대한 공포가 현실화된 요즘, 안정적인 식자재 생산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눈앞의 미래가 된 데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적인 식량 공급망 교란이 생기면서 안정적인 자원 공급에 대한 불안감이 갈수록 고조되는 탓이다.
국내 사정도 마찬가지다. 국내 밥상 물가만 봐도 국내 식량 관리가 시급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올 2월 국내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6% 상승했다. 국내 농산물 시장의 가격이 국제 가격 흐름의 영향을 점진적으로 받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국내 식료품 물가 상승이 더 가팔라질 것은 자명한 일이다.
세계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는 늘고 있는 반면, 토지와 가용 노동력은 줄어들고 생산성은 낮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로 그 격차를 극복해야 할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이러한 농업 환경은 필연적으로 농업 분야의 혁신을 재촉하고 있다. 농업 분야의 혁신 중 가장 활기를 띠는 분야는 바로 정보통신기술(ICT)에 바탕을 둔 스마트팜 조성 사업이다. 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유리온실‧축사 등에 ICT를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말한다.
스마트팜 조성 면적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시설원예 분야 스마트팜 면적은 2016년 1천912㏊에서 이듬해 4천10㏊, 2020년 5천985㏊로 계속 넓어지고 있다.
스마트팜이 작물 생육 및 환경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종 센서와 디지털 장비 등을 통해 구현된다는 점은 크게 주목할 만하다. 농업과 ICT의 융합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새로운 유형의 비즈니스 산업인 것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팜은 수요자인 농업 종사자와 기술 공급자인 ICT 업계 종사자 모두에게 미래의 새 먹거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 농업의 미래는 앞으로 더 밝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마켓앤마켓은 전 세계 스마트 농업 시장이 2020년 138억 달러에서 오는 2025년 220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시장도 2020년 2억4천 달러에서 2025년 4억9천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국내 애그리테크(Agri-tech) 분야의 경우 해외 농업 선진국에 비해 아직 발전 여지가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저평가된 시장이라는 관점에서 오히려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정부가 빅데이터와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팜 등 농업 분야의 디지털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점도 스마트 농업 분야에는 큰 희소식이다.
식량 위기는 인류의 흥망과 직결된다. 따라서 농업인의 요원한 희망 사항인 생산 증가와 소득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스마트팜의 대중화는 더욱 절실하게 느껴진다.
초기 자본이 많이 드는 등 소규모 농가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해 농협이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보급형 스마트팜은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여기에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홍보, 그리고 청년농 육성과 함께 농업인 의식 전환이 어우러진다면 스마트팜의 대중화는 요원한 꿈만은 아닐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한동훈·가족 명의글' 1천68개 전수조사…"비방글은 12건 뿐"
사드 사태…굴중(屈中)·반미(反美) 끝판왕 文정권! [석민의News픽]
"죽지 않는다" 이재명…망나니 칼춤 예산·법안 [석민의News픽]
"이재명 외 대통령 후보 할 인물 없어…무죄 확신" 野 박수현 소신 발언
尹, 상승세 탄 국정지지율 50% 근접… 다시 결집하는 대구경북 민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