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방한 이틀째인 21일 대통령실에 도착, 한미정상회담을 시작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옮긴 뒤 국가원수급 외빈이 공식 회담 목적으로 청사에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오후 1시 21분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남쪽 미군기지 게이트를 통해 청사로 들어섰다.
바이든 대통령과 방한단을 태운 차량 행렬은 오후 1시23분 청사 현관에 도착했다. 미국 측 수행원들이 미리 청사에 진입해 회담 실무를 준비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청사 1층 정문 밖에서 직접 바이든 대통령을 영접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군악대가 환영 음악을 연주하는 가운데 전용 차량인 '비스트'에서 하차했다.
국빈 방문이 아닌 공식 방문인 만큼 별도 의장대 사열 행사는 없었다.

한미 정상은 악수로 짧은 인사를 나눈 뒤 청사 안으로 향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삼성 반도체 공장에서처럼 윤 대통령의 왼쪽 팔을 두 세번 두드렸다.
이어 두 정상은 '조셉 바이든 미합중국 대통령 공식 방한'이라 쓴 현관 안쪽 포토월 앞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방명록에 사인했다.
청사 내부 1층과 5층, 지하 1층에는 바이든 대통령의 동선마다 레드 카페트가 깔렸다.
두 정상은 오후 1시30분을 조금 넘긴 시각 청사 5층 접견실에서 소인수 회담을 시작했다. 소인수 회담, 환담, 확대 회담 순으로 약 90분간 진행한다.
이어 양국 정상은 회담을 마친 오후 3시 30분쯤 지하 1층 강당에서 공동선언을 발표하고 기자회견을 연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이날 오후 1시쯤 첫 일정으로 국립서울현충원 현충탑을 참배했다.
그는 오후 12시50분쯤 숙소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나선지 약 10분 만에 현충원에 도착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남색과 하얀색이 섞인 체크무늬 넥타이와 정장 차림으로, 수행원 없이 통역만 대동한 채 엄숙한 표정으로 헌화·분향을 마쳤다.
그는 묵념 음악 연주가 끝나고도 한동안 묵념을 이어가는 등 현충원에서 15분 가량을 보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