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계가스총회 계기로, 탄소중립에 국민적 관심 기울이자

입력 2022-05-19 05:00:00 수정 2022-05-21 07:01:42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왼쪽 두번째)이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 정책 세미나에 참석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왼쪽 두번째)이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 정책 세미나에 참석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가스총회가 23일부터 대구엑스코에서 개최된다. 세계 주요 에너지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술을 찾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기업 간 협업을 논의하는 자리다. '탄소중립'(carbon neutral)을 달성하는 데는 여러 방식이 있다. 현재 널리 쓰이는 방식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실질적으로 탄소배출 '제로'(0)를 만드는 방식이다. 숲을 조성해 산소를 공급하거나 삼림 조성 등에 쓸 돈을 지불하고 '탄소배출권'을 구입해 탄소중립을 이루는 식이다. 태양열, 태양광, 풍력에너지 분야에 투자하는 것도 탄소중립을 이루는 방식으로 손꼽힌다.

궁극적으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재활용하는 기술, 쓰레기나 축사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포집해 에너지로 활용하는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 이런 분야는 기술적으로 아직 초보 단계이고, 수익성도 낮다. 하지만 탄소배출권 구매 비용을 줄이면서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길이다. 아직은 효율성이 낮아 중소기업들이 선뜻 투자하기 힘든 만큼 정부 차원의 과감한 연구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지금 세계는 분야별 과학기술 경쟁뿐만 아니라 '탄소저감' '탄소재활용'에 사활을 걸고 있다. 각국은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로'로 만드는 탄소중립에 동참하기로 했다. EU는 2021년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을 승인했고, 2025년부터 추가 관세를 부과할 전망이다. 현 상태대로라면 유기화학품, 플라스틱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탄소 다배출 산업은 유럽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게 된다. '탄소중립' 없이는 기술 자체의 의미가 희박해지는 것이다.

탄소중립 강국으로 앞서가기 위해서는 관련 업계나 전문가 집단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이 '탄소중립'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더불어 정부는 규제보다는 인센티브 제공, 기술 지원 등에 더 힘을 쏟아 우리 기업들이 '규정' 이상의 '기술'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