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규모 항체 조사 이달 착수 올해 총 3만 명 대상

입력 2022-05-17 15:47:50 수정 2022-05-17 21:54:00

만 5세 이상 국민 대상…지역·연령 등 표본 추출 통해 선정

지난달 대구 중구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예방접종센터에서 한 시민이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을 맞고 있다. 매일신문 DB
지난달 대구 중구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예방접종센터에서 한 시민이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을 맞고 있다. 매일신문 DB

정부가 국내 코로나19 자연 감염자의 규모를 확인하고 향후 방역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이달부터 대규모 항체양성률 조사에 착수한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7일 "전국 17개 시·도 만 5세 이상 국민이 대상"이라며 "지역, 연령, 유병률 등을 고려해 분기별로 통계적 표본 추출을 통해 선정된 1만 명을 대상으로 항체 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항체 양성률조사는 지역사회 내 자연 감염자 규모를 확인하는 동시에 변이 바이러스 출현 및 향후 예방접종 정책 수립 등을 위한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방역 당국은 이달 중 첫 항체 조사에 착수하며, 표본 설계 등 준비 과정을 거친 뒤 다음 달부터 검체 채취와 분석에 들어간다.

참여 동의 절차를 거쳐 조사 대상자로 최종 선정된 이들은 의료기관에 방문하거나, 조사원의 가정 방문을 통해 채혈을 받으며, 설문조사도 하게 된다. 설문조사 문항에는 지역, 연령, 성별, 확진력, 백신 접종력, 기저질환력 등이 포함된다.

항체 조사는 채혈된 혈청에서 코로나19 자연 감염에 따른 N항원, 자연 감염 및 백신 접종 시 검출되는 S항원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첫 조사 결과는 다음 달 말이나 7월 초쯤 나올 전망이다.

항체 조사는 올해 2분기부터 분기별로 1만 명씩 총 3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결과는 분기마다 공개된다.

방역 당국은 이번 항체 조사를 통해 자연 감염 비율과 항체 유지 수준 두 가지를 확인할 계획이다.

이 단장은 "우리가 인지하지 못한 채 감염을 거쳐간 사람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백신 정책을 수립하거나 유행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며 "대상자로 선정된 분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일각에서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고 인구 이동이 많아 항체 조사 결과를 지역별 방역 정책 근거로 쓰기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인구 통계를 기반으로 선별된 표본에 대한 조사이기 때문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앞서 방역당국이 지난해 11, 12월 헌혈자 9천896명을 대상으로 항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자연 감염에 의한 항체 양성률은 1.2%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 이후 오미크론 확산으로 확진자가 급증한 만큼 올해 조사에서는 항체 양성률이 크게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