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장 후보 TV토론 '단 1회'…시청 힘든 '평일 밤 11시'

입력 2022-05-16 16:49:43 수정 2022-05-17 09:58:55

시청률 떨어지는 평일 늦은 밤 토론 딱 한 차례…사전투표 바로 전날 진행
"시장 후보 정견도 모르고 투표" 커지는 우려

6월 1일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 등록 첫날인 지난 12일 대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대구시장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서재헌 후보(왼쪽부터), 국민의힘 홍준표 후보 대리인, 정의당 한민정 후보가 등록을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6월 1일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 등록 첫날인 지난 12일 대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대구시장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서재헌 후보(왼쪽부터), 국민의힘 홍준표 후보 대리인, 정의당 한민정 후보가 등록을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1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통합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서재헌 대구광역시장 후보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통합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서재헌 대구광역시장 후보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홍준표 대구시장 후보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앙선대위발대식 및 광역단체장 공천장 수여식에 이준석 대표로부터 공천장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홍준표 대구시장 후보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앙선대위발대식 및 광역단체장 공천장 수여식에 이준석 대표로부터 공천장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의 향후 4년을 책임질 시장 후보들이 지방선거 본 투표일을 일주일도 남기지 않은 시점에 단 한 차례, 그것도 시청자들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평일 밤 11시'에 TV토론을 벌인다.

가뜩이나 대구경북을 통틀어 무려 40곳에서 무투표 당선이 속출하는 등 '노잼(No 재미) 지방선거'라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시민들이 시장 후보의 정견마저 자세히 알지 못한 채로 투표에 나서게 됐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16일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6·1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시장 후보 간 TV토론회는 오는 26일 오후 11시부터 대구문화방송에서 생중계로 진행된다. 시간은 우선 모든 후보들이 참가한다는 가정 아래 자정을 넘겨 다음날 오전 1시까지 잡혔다.

시간대와 시점, 개최 횟수까지 모두 시민들이 후보들을 제대로 파악하기엔 턱없이 미흡하는 비판이 나온다.

일단 개최 시점부터 문제다. 26일은 사전투표일(27~28일) 바로 전날이고, 본 투표일을 닷새 남겨둔 시점이다. 유권자들이 토론회를 지켜본 뒤 후보들의 공약을 꼼꼼히 점검하고 판단하기에는 촉박한 시간이다. 심지어 사전투표일 첫 날 투표하려는 유권자들은 전날 밤 토론회를 본 뒤 바로 투표에 나서야 한다.

시간대 역시 부담스럽다. 26일이 평일인 목요일이기 때문이다. 다음날이 금요일이어서 직장인이나 자영업자 대부분은 출근을 해야 한다. 저조한 시청률은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개최 횟수가 단 한 차례에 불과하다는 점도 미흡해 보인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과 행정통합, 군위군의 대구 편입, 취수원 다변화 등 산적한 현안과 관련해 후보들이 각자 입장을 주고받고 결론을 내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평이다.

정의당 한민정 대구시장 후보가 10일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며 파이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당 한민정 대구시장 후보가 10일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며 파이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원호 기본소득당 대구시장 후보. 기본소득당 제공
신원호 기본소득당 대구시장 후보. 기본소득당 제공

홍준표 국민의힘 후보의 '1강' 체제로 정립된 현재 구도를 감안하면 토론이 정책 대결보다 홍 후보를 둘러싼 정치적 공방으로 흘러가면서 정작 지역의 미래와 관련된 구체적 복안은 나오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도 대구의 TV토론 횟수는 적은 편이다. 여야 격전지인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 선거와는 비교하기 민망한 수준이고, 가까운 부산에서도 여러 차례의 토론이 예정돼있으며 이미 지난 13일 첫 토론을 치렀다.

대구가 국민의힘 강세 지역이어서 적다고 할 수도 있지만, 민주당의 텃밭인 광주에서도 세 차례의 시장 후보 TV토론이 잡혀있다는 사례를 들면 예봉을 피해 가긴 어려워 보인다.

공직선거법에 따라 법정 TV토론회는 대통령 선거 3회 이상, 광역단체장 등은 1회 이상으로 정해져 있다. 다른 지역도 법정 토론회는 대구와 마찬가지로 한 차례만 진행하지만, 방송사와 각종 유관단체에서 진행하는 비법정 토론회가 여러 차례 잡혀있다. 반면 대구는 법에서 정한 최소한의 토론회만 하게 됐다.

비법정 TV토론을 고려해야 하는 각 방송사들과 이를 위해 협의해야 하는 시장 후보들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는 지점이다. 이 때문에 후보군 가운데선 추가 토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서재헌 후보는 "중요한 법정 토론이 평일 밤 11시 방영으로 결정되면서 유권자의 알 권리가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며 "후보 간 합의를 통한 양질의 TV토론회의 추가 진행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반면 홍준표 후보 측에서는 추가 토론회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홍 후보 측 관계자는 "이미 개소식과 기자회견 등 여러 기회를 통해 3대 구상과 비전, 현안에 대한 정견을 충분히 설명했기 때문에 굳이 합동 토론회에서 추가로 이 문제를 다룰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법정 토론 한 번이면 충분하다고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