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12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대북 특사로 임명하는 방안에 대해 "충분히 검토할 만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 후보자는 이날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만났던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대북 특사를 맡길 수 있겠느냐'는 취지의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혼자 결정할 수 있는 일은 아니기에 확답은 못한다"면서도 이같이 답했다.
태 의원은 "국제적으로 퇴임한 전직 총리나 수반, 대통령 등 원로를 현직 정부가 기후 변화나 중동 문제에 특사로 보내서 활용도 하고 미국은 클린턴, 카터 등 전직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서 핵 위기를 중재하고 자기 국민들 데려오는 일정한 역할을 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도 "대한민국의 아쉬운 점은 역대 대통령 말로가 좋지 않았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길까 들여다보면 우리나라에서 보면 북한과의 기밀 접촉, 북한 방문은 대통령외 최측근이 하는 게 오랜 관행"이라며 "윤석열 정부에서는 이런 관행을 벗어나서 전직 대통령이나 반기문 사무총장 같은 원로들이 남북관계에서 일정한 역할을 해줘서 선진국의 정치 문화를 따라가야 하지 않나"라고 주장했다.
이에 권 후보자는 "우리가 자원도 별로 없고, 사람이 가장 중요한 나라다. 특히 여러 경험을 가진 분들, 계속해서 나라를 위해 봉사할 수 있는 분들을 제공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며 "남북관계에서도 다르지 않다. 전직 수반이나 수반급인 반기문 총장 등 남북관계 개선과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문 대통령 역시 지난 2월 연합뉴스 및 세계 7대 통신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퇴임 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위해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처럼 방북 특사와 같은 역할을 요청받으면 수용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그때 가서 판단할 문제"라고 말해 가능성을 열어둔 바 있다.
또 문 대통령이 지난 4월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서 "남북의 노력이 한반도 평화의 귀중한 동력으로 되살아날 것을 언제나 믿고 기다리겠다. 이제 평범한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지만, 언제 어디에서든 한반도 평화를 위해 마음을 함께 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퇴임 후 대북특사 등의 역할도 맡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