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윤석열 정부의 6대 국정 목표 중 하나로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선정·발표했다. 인수위는 지방시대를 국정 목표에 포함시킨 데 대해 "대한민국 재도약의 선결 조건인 지역 불균형 해소의 의지를 담았다"고 강조했다.
인수위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윤 정부 국정 목표로 정한 것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동체의 생존을 위협할 정도로 지방과 수도권의 불균형은 심각하다. 불균형을 넘어 공정을 무너뜨리고 기회를 박탈하는 지경이다. 사람과 돈 등을 수도권에 빼앗겨 몰락하는 지방을 계속 방치해서는 인수위가 국정 비전 슬로건으로 내세운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함께 잘 사는 국민의 나라'를 만드는 것은 요원한 일이다.
노무현 정부 이후 역대 정부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노력했지만 지방과 수도권의 격차는 더 벌어지고, 지방의 추락은 가속화했다. 중앙정부가 시혜를 베풀듯 지방으로 공공기관들을 옮기고 개발 공약들을 던져 주는 식으로는 균형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점에서 김병준 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위 위원장의 균형발전 패러다임 전환 선언은 탁견이다. 김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중앙정부 주도에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 주도로, 관 중심에서 민간의 자율 혁신 체제 강화로 국가의 성장 동력이 바뀌는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위는 지난달 말 균형발전 관련 15대 국정 과제 및 76개 실천 과제를 발표했다. 윤 정부는 과제들이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추진 동력을 집중해야 한다. 주목하는 것은 '지자체 간의 정책 경쟁 및 자기책임성 강화로 지방 주도 지역발전 실현'이 국정 과제의 하나로 명시된 것이다. 차기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 핵심이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인 만큼 대구시와 경북도 등 지자체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단체장·의회의 역량에 따라 지역 간 발전 성과가 갈린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