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권력욕 없이 새로운 세계 도달" 靑연설비서관의 소회

입력 2022-04-24 16:46:45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페이스북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페이스북

문재인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신동호 청와대 연설비서관이 24일 "문 대통령은 권력욕 없이 새로운 세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홀로 그렇게 했다"고 평가했다.

신 비서관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너무 착하다고 한다. 그렇지 않다. 권력으로만 할 수 있다. 권력에 취한 목소리들 안에서 오직 마음을 얻기 위해 다른 삶을 살았을 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도스토예프스키는 '악령'에 혜안을 남겼다. 획기적 발전과 혁명, 유토피아라는 환상 뒤에는 오늘, 친구, 주변을 향한 권력의 과시가 내재해있다"며 "급진의 도박판에 좌우 가리지 않고 둘러앉았는데, 외롭게, 실현 가능한 길에 등불을 걸었다"고 했다.

이어 "성패는 그 시대의 것이 아니고, 객관적이지도 않다"며 "같은 사건에 대한 다른 기억, 같은 말에 대한 다른 해석 그 앞에 성패를 묻는 일은 부질없다. 그는 정직, 성의, 지극으로 하루하루 실천했다"고 덧붙였다.

또 신 비서관은 조선 후기 강화학파 양명학자들에 빗대 문 대통령의 태도를 조명하면서 "다른 모습으로 산다는 것은 말로 가능하지 않다. 오직 태도다. 그는 몸에 밴 그대로 했다"며 "권력을 나누는 일이 우리에게 너무 이른지 모른다. 그는 국민을 주인으로 섬기며 고개 숙이고, 믿었다. 평범함이 가진 위대함, 법 없이도 살 사람들의 세상"이라고 했다.

그는 루마니아 출신 작가 헤르타 뮐러의 노벨문학상 수상소감을 통해서도 문 대통령의 태도를 언급하며 "권력욕 없이 새로운 세계에 도달하기까지, 남겨진 한걸음이다. 시작과 끝에 오직 진실과 양심을 남겨두는 일"이라며 "우리의 품위가 잘 지켜지도록, 스스로 삼가는 일이다. 그는 인내한다. 자발성에 이르러야 진정 변화다"라고 했다.

또 터키 작가 오르한 파묵의 '나는 잘 안다. 아버지가 자기 자신이 아니라, 우리가 원하는 아버지가 되길 원했던 것이다'라는 말을 인용해 "대통령을 다 알 수는 없다. 8년 가까이 주변을 서성이며 느낀 저의 마음일 뿐. 다만 오르한 파묵의 말을 떠올려 아릿한 회한으로 간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는 이제 작은 방으로 돌아간다. 모든 것이 그대로 있어 주기에는 좀 먼 길이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