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되풀이되는 농촌 일꾼 구하기 전쟁, 해법이 안 보인다

입력 2022-04-08 05:00:00

농번기 농촌 들녘에 일꾼이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19가 창궐한 2020년 이후 외국인 일꾼 수급에 비상이 걸린 탓이다. 사실상 외국인 일꾼의 손에 근근이 꾸려온 농사일이다. 농촌의 일꾼 부족은 일상이 된 지 오래다. 통계청에 따르면 농촌 인구는 지난 20년간 반 토막이 났다. 1995년 485만 명이던 것이 2018년 231만 명으로 급감했다. 일꾼 확보를 위한 외국인 계절 근로자 수급 업무협약 체결이 유행처럼 잇따랐던 까닭이다. 그런데 이런 업무협약도 올해는 공수표로 전락하고 있다.

고령군은 지난해 말 일꾼 부족 해결을 위해 베트남 라이쩌우성과 외국인 계절 근로자 도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농번기인 4~6월, 3개월 동안 일하는 조건으로 모집 인원은 80명 선이었다. 하지만 계절 근로자가 국내로 들어오기는커녕 베트남 현지에서 한 명도 모집되지 않았다고 한다. 특히 올해는 수확기와 6·1 지방선거 선거운동 기간이 겹쳐 최악의 인력난이 예고돼 있다. 약간이나마 있는 농촌 인력마저 선거운동원으로 일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농촌 일꾼 부족은 비단 경쟁력 저하에 그치지 않는다. 인건비 상승을 부채질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도 낳는다. 현장에서는 외국인 계절 근로자가 상전이라는 말이 팽배하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통역도 구해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혹여 컨디션 저하 등을 이유로 작업을 거부하면 대안도 없다. 일당은 치솟고 있다. 일당 20만 원을 제시해도 일꾼 모시기가 쉽지 않다. 농사를 그만 지어야 한다는 푸념이 충분히 나올 법하다.

행여 코로나19가 풍토병 수준으로 바뀐다 해도 일꾼 부족 현상은 반복된다. 더 큰 문제는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부가 농촌 일꾼 공급에 팔을 걷어야 한다. 공공 영역의 농촌인력중개센터 활성화나 자원봉사 연계 사업 가능성 등을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 지자체와 지역농협이 개인기로 뚫고 해결할 차원의 문제를 넘어섰다. 언제까지 외국인 계절 근로자의 손을 빌릴 수는 없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