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文대통령 앉은 북악산 초석, 지정문화재 아냐"

입력 2022-04-07 14:10:04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 북악산 남측 탐방로에 위치한 법흥사터에서 김현모 문화재청장으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 북악산 남측 탐방로에 위치한 법흥사터에서 김현모 문화재청장으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북악산 남측 탐방로 산행 도중 절터 초석에 앉은 것과 관련 불교계를 중심으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자 문화재청이 해명에 나섰다.

문화재청은 7일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를 통해 "초석은 지정·등록문화재가 아니다"라며 "사전에 행사를 섬세하게 준비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공감하며 앞으로 유의하겠다"고 했다.

이어 "법흥사터의 소중한 가치를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불교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5일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청와대 뒤편 북악산 남측 탐방로 산행에서 법흥사터(추정)의 연화문 초석에 착석한 사진이 공개되자 불교 문화유산을 소홀히 다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문 대통령 부부가 모르고 초석에 앉았다고 하더라도 현장에 동행한 문화재청장이 이를 저지하지 것은 적절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불교계 언론 법보신문은 지난 6일 '대웅전 초석 깔고 앉은 문 대통령 부부…'청와대 문화유산 인식 수준 참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청와대가 직접 배포한 사진 속에 문 대통령 부부가 연화문 초석을 깔고 앉은 사실이 확인됐다"며 불교계 인사들이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문 대통령 부부가 앉은 초석은 1960년대에 놓인 것으로 문화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법흥사는 신라 진평왕 때 건립됐다고 전하나, 구체적인 기록은 확인되지 않았다. 지금은 건물터와 축대, 주춧돌만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