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 및 관계자들과 회의를 하고 장기화하고 있는 반도체 수급 및 공급망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삼성전자 최시영 파운드리부문 사장은 화상으로 참여했다. 이 밖에 마이크론, 휴렛 패커드, 월풀, GM 등 관련업계 대표와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의에서 "우리는 특히 중서부 지역에서 미국의 제조업이 살아나는 것을 보고 있다"며 "기업들이 여기 미국에서 새로운 공장 건립을 결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의회에서 초당적인 혁신법안이 처리된다면 기업들은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삼성의 최 대표가 화상으로 참여했다"고 소개한 뒤 "삼성은 텍사스에 170억달러 최대 규모의 반도체 공장을 짓기로 했다. 이를 통해 2천 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감사를 표했다. 그는 "손톱만한 반도체가 우리 모두의 생활에서 자리하지 않는 부분이 없다"며 반도체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현재 대립각을 펼치고 있는 중국과의 경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한 대만 등 반도체 선두 국가와 연대를 강화하는 상황이다.
취임 하자마자 반도체 부족에서 시작한 공급망 마비 사태에 발목을 잡힌 터라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반도체 등 핵심 제조업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재육성하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취임 직후인 지난해 4월 백악관에서 삼성전자를 비롯해 주요 업계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회의를 소집, 웨이퍼를 직접 손에 들고 투자를 압박하기도 했다.
이어 5월 한미정상회담 전날 반도체 회의에 다시 삼성전자를 포함시켰고, 지난해 10월부터 계속된 공급망 대책회의에도 외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삼성을 대상에 넣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