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식구들과 매년 하는 연말 회의에서 배우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집중훈련 기간을 갖자는 의견이 나왔다. 배우들 각자는 저마다 존중받아야 할 개성과 약점을 갖고 있다. 그렇기에 일률적인 훈련보다는 각자의 강점과 약점을 고려한 개별적 훈련이 중요하다.
하지만 한 팀의 구성원 공통에게 해당될 수 있을 훈련 또한 분명 필요하다. 그리고 어떤 공통 훈련이 가능할지 구상하던 중, 인형을 활용한 연기 훈련을 진행해봐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인형은 어린 시절 거의 모든 이에게 좋은 놀이친구가 되어준다. 하지만 그 시절을 지나고 나면 우리는 인형이란 말을 주체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존재를 비유할 때에만 가끔 사용하곤 한다. 고백하건데 나는 어릴 때는 물론 성인이 된 지금까지도 종종 혼자 인형놀이 하는 걸 좋아한다. 인형놀이가 주는 여러 종류의 쾌감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인형놀이를 하는 동안에는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인형의 사실적 겉모습은 중요하지 않다. 강아지 인형도 말이 될 수 있고 구불구불 이불로 만들어진 산 능선을 넘어 말발굽 소리를 내며 달린다. 머릿속에만 존재하던 공상이 조금 더 현실의 옷을 입고 눈앞에서 생명을 얻는 것이다.
나 아닌 누군가를 위해 인형놀이를 할 때도 있었다. 인형 하나를 가지고 해보이는 온갖 장난이면 어린 동생을 몇 시간이고 웃게 해줄 수 있었다.
한편 인형놀이는 나 자신과 세계를 투영시켜 진행하는 고발이 되고 투쟁이 되기도 한다. 어릴 적 나한테는 사람 모양의 아주 작고 보드라운 분홍색 인형이 있었는데, 그 인형의 하얀 얼굴에는 까만 눈 두 개가 박혀있을 뿐 입이 없었다.
하루는 문득 그 친구에게 입이 없다는 게 너무 슬프게 느껴졌다. 그래서 서툰 솜씨로 빨간색 실로 한 땀, 작은 입을 만들어 주고는 행복해 보이는 인형을 보고 나 역시 행복해했던 기억이 있다. 인형의 변화없는 하나의 얼굴에서도 온갖 생각과 감정을 읽어내는 것은 우리 자신의 기억과 경험들이 인형에 투영되어 보이기 때문일 것이다.
인형놀이 속 고발과 투쟁은 특히나 아이들이 둘 이상의 인형을 가지고 역할놀이를 할 때 잘 관찰할 수가 있다. 자기는 이러이러한 것을 바라는데 엄마나 선생님이 무섭게 혼을 내면서 자기가 하고자 하는 것을 방해하는 스토리의 놀이를 본 적이 있지 않은가.
그러고 보면 연극을 한다는 것도 일종의 인형놀이이다. 현실의 사람이 아닌 등장인물들을 가지고서 하는 나 자신과 세계의 이야기이며, 동시에 이 놀이를 보아줄, 이 놀이를 통해 웃고 웃을 누군가를 위한 것이기도 하니 말이다. 앞으로도 더 잘 놀아보도록 계속 노력해야겠다. 그리고 관객 여러분들도 우리의 인형놀이를 즐겁게 지켜봐주시면 좋겠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