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내년 복지예산 10% 늘어난 2조1천억원…취약계층 일상 회복과 돌봄

입력 2021-12-26 15:30:42

취약계층 기본생활 보장 에산 3천533억→3천933억원
대구형 기초생활보장 예산 9억5천만→12억5천만원
위기가구 발굴과 찾아가는 복지스비스 시행
노후보장과 노인일자리 사업, 장애인 지원 등

대구의 한 임대아파트에 사는 지원(가명·7)이네 집. 좁은 집에 여덟식구가 살다 보니 제대로 쉴 만한 곳이 없다. 윤정훈 기자
대구의 한 임대아파트에 사는 지원(가명·7)이네 집. 좁은 집에 여덟식구가 살다 보니 제대로 쉴 만한 곳이 없다. 윤정훈 기자

대구시가 내년도 복지예산을 늘려 취약계층의 일상 회복을 돕고, 돌봄서비스 공공성을 강화한다. 기초수급자의 소득보장을 개선하는 한편 정부 제도에서 소외된 취약층을 대상으로 한 대구형 기초생활보장을 더 개선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내년도 복지국 예산으로 2조1천604억원을 책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올해 예산 1조9천608억원보다 10.2%(1천996억원)가 늘어난 액수다. 시는 이를 통해 촘촘한 복지실현과 사각지대 없는 복지기반 마련, 노후 걱정 없는 도시, 장애인의 자립 지원 등의 추진 전략을 시행한다.

무엇보다 취약계층의 기본생활 보장을 확대한다. 생계급여 관련 예산을 올해 3천533억원에서 내년 3천933억원으로 11.3% 증액했다. 특히 기준중위소득을 5.02% 인상해 기초수급자의 소득보장을 강화한다. 이를 4인 가구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 수급액이 146만2천원에서 153만6천원으로 늘어난다.

아울러 정부 기준에 미달해 지원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 취약가구와 일시적 위기가구를 지원하는 대구형 기초생활보장 예산도 31.6% 늘린 12억5천만원을 책정했다.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고독사 예방을 위해 중·장년 1인 가구 고위험군 1천 가구를 대상으로 자동 안부 전화 사업을 시범적으로 시행한다. 달구벌복지기동대를 투입해 질병과 사고, 재해 등 다양한 이유로 생활이 어려운 취약계층을 찾아 현금 지급이나 주거환경 개선 등 맞춤으로 지원한다.

노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만 65세 이상 노인 29만8천 명 정도에게 월 최대 30만1천500원의 기초연금을 지급해 노후소득을 보장한다. 노인 일자리 사업 예산도 8.4% 증가한 1천137억원을 투입한다.

장애인 활동지원 대상자를 올해 4천752명에서 내년 5천17명으로 늘리고, 지원단가도 시간당 1만4천20원에서 1만4천805원으로 인상한다.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을 위해 내년 장애인연금과 장애수당 예산은 792억원으로 올해보다 6억원 늘렸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내년은 더 나은 삶과 복지 증진을 위한 원년이라고 여기고,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와 안전한 복지기반 마련, 노인과 장애인 지원 등의 예산 확보에 힘을 쏟았다"며 "코로나19 확산으로 힘든 시간을 견디는 저소득 취약계층이 다시 건강한 일상으로 돌아가도록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