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델 교수 대담서 이재명 "기득권, 성공을 노력 결과로 착각"

입력 2021-12-21 17:30:40 수정 2021-12-21 21:29:10

"능력주의, 성장률 떨어지며 부작용 커"
공정 이슈로 주도권 빼앗기 분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21일 서울 중구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에서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21일 서울 중구 정동1928 아트센터 이벤트홀에서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와 '대전환의 시대, 대한민국은 어떻게 공정의 날개로 비상할 것인가'의 주제로 화상 대담을 하고 있다. 이번 대담에는 온라인을 통해 공개 모집한 국민참여단 현장 패널 15명도 참석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정의란 무엇인가' 저자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와의 대담에서 능력주의와 공정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공정' 이슈를 부각하면서 자신의 경제 성장 전략인 '전환적 공정성장'의 주요 개념인 '공정성'을 강조하며 정책·비전 행보를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부인 김건희 씨의 이력 논란 등으로 위기에 몰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부터 공정 이슈의 주도권을 빼앗기에 나섰다는 정치권의 해석이 나온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정동아트센터에서 샌델 교수와 '어떻게 공정의 날개로 비상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온라인 화상 대담을 했다.

이 후보는 "교수님의 책을 여러 차례 반복해 읽을 만큼 팬"이라며 "제가 대한민국 정치에서 고민하는 의제와 일치해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이에 샌델 교수는 "기득권 계층이 자신들의 성공을 노력의 결과로 믿고 자만심을 갖는 것이 빈부격차 심화의 원인"이라며 "이런 현상을 제가 '공정하다는 착각'이라고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능력주의 비판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샌델 교수는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 입학생 중 상류층 자녀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현상을 거론하며 "능력주의는 결국 평등보다는 사회 전반의 불평등을 더 가져오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입시 추첨제는 더 공정한 입학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이를 제안한 것은 명성 있는 대학에 입학한 것에 노력뿐 아니라 운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을 인지하게 해주고 싶어서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이 후보는 "대한민국 입시제도에도 교수님이 말씀하신 추첨 요소가 조금은 가미돼 있다"며 "소수점까지 가지고 평가하는 것이 아니고, 등급제를 도입한 것은 추첨제가 가진 장점을 일부 반영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능력주의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으나 성장률이 떨어지면서 부작용이 많아진 것 같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