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과 전망] '취수원 상생' 구미 국회의원이 걸림돌 되나

입력 2021-12-21 19:53:38

이석수 서부지역본부장
이석수 서부지역본부장

'구미 해평취수원을 대구와 함께 쓰자'고 동의하는 구미 시민들이 늘어나, 두 지역 간 10년 이상 해묵은 과제 해결 희망이 커지고 있다. 매일신문이 최근 실시한 구미 시민 대상 여론조사에서 취수원 공동이용 동의가 70.3%로 나타났다. 지난 4월 동일한 조사에서 동의율이 62.7%였던 점에 비춰 보면 인식 변화가 뚜렷해 보인다. 이러한 구미 시민들의 '대승적 포용'에는 대구와 구미가 함께 발맞추어 발전해 가야 할 동반자이며, 나아가 대구와 경북의 상생이라는 큰 가치를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시민들의 뜻과 달리 구미 지역 두 국회의원은 대구와의 취수원 공동이용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 구미 갑·을 지역구 구자근·김영식 의원은 지난 7월 공동 입장문을 통해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대구 취수원 이전 의결은 수질 개선이란 근본적인 해결책 제시조차 없는 짜맞추기‧졸속 결정"이라며 유감을 밝혔다.

그러면서 두 의원은 "물을 달라고 하는 수요자(대구)의 일방적인 의사에 의해 미리 답을 정해 놓은 듯한 용역 결과를 누가 수용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물을 줘야 하는 공급자(구미)의 의견 반영이 없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이 힘을 얻으려면 실제로 구미 시민들의 반대 여론이 더 높다는 근거를 제시했어야 했다. 두 의원실에서 여론조사를 했다는 기록은 없다.

지난주 여론조사에서도 구미 시민 70%가 취수원 공동이용에 대해 동의를 했음에도, 지역구 의원들의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 본지의 질의에 구자근 의원은 답변을 거부했고 김영식 의원은 여전히 반대 의견을 고수했다. 김 의원은 "취수원 공동이용이 구미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된다"며 "(대신에) 대구와 구미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초선의 야당 국회의원이 단기필마로 나서 거대 집권당 및 정부와의 협상에서 얼마나 큰 선물을 가져올지는 모르겠으나, 구미 시민들의 뜻을 거스르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구미 국회의원들이 이러하니 국민의힘 소속 구미 시의원들도 반대 목소리에 박자를 맞추는 모양새다. 당장 내년 지방선거 공천에 목매는 상황에서 거역하지 못하는 형국이다. 구미시의회에서 '대구취수원 구미이전반대 특별위원회'를 만든 것도 이러한 맥락이다. 결국은 구미 정치권의 정파성이 구미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다.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에 묻혀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골든타임을 놓칠까 걱정이다. 가급적 빨리 구미시가 대구시·정부와 함께 취수원 공동이용 협정을 맺어야 한다. 여기엔 상수원보호구역 등 규제 확대가 없고 수량 부족 및 수질 악화에 대한 시민 우려를 해소시키는 명시적 문구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만약에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취수원 공동이용을 백지화한다는 내용까지 포함시키면 된다.

그러면서 구미와 대구경북 정치권은 취수원 해결에 대한 대정부 '보상 빅딜'에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구미의 숙원인 KTX역 신설 국비 지원, 국가산단 입주 업종 완화, 공공기관 이전 등을 패키지로 묶을 수 있을 듯하다. 구미시장은 여당의 대통령 후보에게,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대선 공약으로 채택되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이 시간에도 낙동강 물은 실익 하나 못 건지고 흘러간다. 논쟁으로 허송세월하다간 그저 경치로만 남을 뿐이다. 매년 100억 원에 취수원을 파는 것이 아니라 구미 발전의 마중물로 만들면 된다. 여야 정파를 떠나 '취수원 상생'이라는 시민들의 뜻을 따르는 것이 순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