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까지 구미 2공장 내 1천900억원 투자…직∙간접 300명 이상 고용
경북 구미에 소재한 SK실트론이 전력반도체 핵심소재인 SiC(실리콘 카바이드) 웨이퍼 생산 공장 증설에 나섰다.
최근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차 시장에 앞다퉈 진출하고 있는 데다 통신업체의 초고속 5G 보급 확대에 따라 전력반도체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서다. 전력반도체용 웨이퍼로 각광받고 있는 SiC 웨이퍼 역시 수요가 늘고 있어 SK실트론 측이 선제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를 위해 SK실트론은 2024년까지 1천900억원을 투자해 구미2공장 내 SiC 웨이퍼 제조 라인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300명 이상의 신규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경북도, 구미시와 SiC 반도체 웨이퍼 생산공장 증설 투자를 위한 투자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SK실트론은 구미에 본사를 둔 국내 유일의 반도체용 웨이퍼 생산업체로 글로벌 웨이퍼 기업 중 유일하게 Si, SiC 웨이퍼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SiC 웨이퍼는 기존 Si 웨이퍼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높은 전압과 온도를 견디는 특성이 있어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전기차, 5G 네트워크 등 산업에 많이 활용된다.
이번 신규 투자로 구미는 국내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로 더욱 부각되고 있다. 구미에는 반도체 장비 및 부품을 생산하는 월덱스, 원익큐엔씨, 플루오르테크, KEC, 대진기계 등 기업이 밀집해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 장세용 구미시장, 장용호 SK실트론 대표이사, 도·시의원, 기관·단체장 등이 참석했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신규 투자로 시민에게 힘을 준 장용호 대표에 감사하다"면서 "기업이 찾고 싶은 투자 환경을 지속해서 조성, 다양한 분야의 기업 투자를 유치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앞으로 구미가 반도체산업의 메카로 부상할 수 있도록 투자환경 조성에 도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