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 의혹에 청와대는 '침묵' 지키기…"정치중립 최우선"

입력 2021-10-03 16:20:43

여권 대권주자 유불리와도 직결…야당 공세엔 "수사 중 사안, 발언 부적절"
시간 지날수록 압박 커질듯…임기말 국정 장악력 저하 우려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가 성남 대장동 개발 관련 의혹에 대해 어떤 발언도 하지 않고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3일 청와대 한 관계자는 대장동 의혹 관련해 "청와대가 언급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민주당이 특검을 수용해야 한다고 천명해달라'며 압박한 것에 대해서도 "수사 중인 사안에 대해 문 대통령이나 청와대의 입장을 요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관련 논란에 잘못 대응했다가 문 대통령이나 청와대의 정치 중립성이 지적받을 경우 더 큰 역풍으로 다가올 것을 우려하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월 5일 참모회의에서도 "정치의 계절이 돌아왔으나 청와대나 정부는 철저히 정치중립을 지켜달라"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해 왔다.

이번 의혹은 여야 대립 요인이면서 여당 주요 대선주자들의 유불리와 직결될 수도 있다.

자칫 문 대통령이나 청와대가 메시지를 냈다가 여권 지지층에게 특정 주자에 대한 지지 혹은 반감을 심어줄 수 있다 보니 더욱 신중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가 이처럼 철저히 '불개입' 원칙을 고수하더라도, 야당 등의 압박은 점차 높아질 전망이다.

국민의힘 경우 이날 김 원내대표를 시작으로 문 대통령을 향해 특검 수용을 천명하라는 공세를 이어갈 공산이 크다.

국민들도 관련 의혹에 크게 분노하고 있다 보니 청와대도 부담이 클 것으로 점쳐진다. 국민들의 정치 관련 관심이 이번 사안에 쏠려 있다 보니 대통령이 다른 어젠다를 제시하더라도 집중받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임기 말 국정 장악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향후 수사가 여권에 불리하게 진행된다면 야권에서는 "대통령의 침묵도 하나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며 입장 표명을 더욱 거세게 압박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