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한국, 한계기업 비중 OECD 4번째로 높다"

입력 2021-09-28 08:06:51

지난해 5개 중 1개 기업은 영업익으로 이자비용도 못내
한계기업 비중 가장 낮은 일본의 7.6배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네 번째로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쌍용차 코란도 이모션 수출선적 행사 모습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연합뉴스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네 번째로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쌍용차 코란도 이모션 수출선적 행사 모습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연합뉴스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네 번째로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OECD 회원국 중 자산총액 500억원 이상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18.9%다. 기업 5곳 중 한 곳은 2018~2020년 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한 셈이다. 2016~2020년 5년간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 추이를 조사한 결과 2016년 15.7%에서 2017년 15.2%로 소폭 하락한 후 2020년까지 지속해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OECD 25개국 중 캐나다와 미국, 그리스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OECD 평균이 13.4%임을 감안하면 한국 한계기업 비중은 평균보다 5.5%포인트(p)나 높았다. 한계기업 비중이 가장 적은 나라는 일본(2.5%)으로 한국이 7.6배 높았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8년 16.1%에서 2020년 18.9%로 2.8%포인트 증가해 OECD 평균 증가 폭(1.8%포인트)도 상회했다.

전경련 유환익 기업정책실장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OECD에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증가 속도도 빠른 편"이라며 "친기업적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