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둔 자영업자 17만명↓…'현재 일 유지하겠다' 0.6%P↓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40·50대 자영업자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을 시작할 때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추세가 이어지면서 직원을 둔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7만2천명이 줄어든 반면, '나홀로' 자영업자는 6만6천명이 늘었다고 4일 통계청이 '2020년 8월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를 통해 밝혔다.
자영업자에 무급가족종사자를 합친 비임금근로자는 올해 8월 기준 663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1천명 감소했다.
이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36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2천명 줄었다. 반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19만3천명으로 6만6천명 증가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늘어나는 것은 2019년 2월부터 시작된 추세로 자영업자 진입 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력을 쓰지 않고, 창업 때 자동주문 시스템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며 "코로나19 영향으로 그 증감의 폭은 더 깊어졌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보면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40·50세대에서 비임금근로자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전년 동월 대비 50대에서 14만명, 40대에서 10만4천명이 각각 줄어든 반면 60세 이상은 8만8천명, 15∼29세는 1만5천명 각각 늘었다.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9만5천명), 건설업(-4만1천명), 숙박·음식점업(-2만8천명) 등에서 비임금근로자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타격이 컸던 업종들이다.
직업별로는 서비스·판매종사자가 1년 전보다 10만1천명이 감소했다. 학원강사 등 관리자·전문가도 3만6천명이 줄었다. 반면 배달, 주방보조 등 단순노무종사자는 4만6천명 증가했다.
향후에도 현재 사업체 또는 일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88.6%로 한해 전보다 0.6%포인트(p) 줄었고, 현재 일을 그만두겠다는 응답자 4.7% 중 1년 이후 그만둘 계획이 54.7%로 가장 많았다.
자영업자가 사업체 또는 일을 그만두겠다는 이유로는 '전망이 없거나 사업부진'이 52.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