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통약자용 저상버스 예산, 나드리콜로 돌려야

입력 2020-10-20 05:00:00

26일 오전 대구장애인론볼연맹 회원들이 나드리콜 차량을 이용해 경기장을 찾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26일 오전 대구장애인론볼연맹 회원들이 나드리콜 차량을 이용해 경기장을 찾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장애인과 노약자와 같은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확보를 위해 예산을 들여 보급 대수를 늘린 대구의 저상버스가 정작 이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가 지난 2004년부터 이들 교통약자가 타고 내리기 편리한 저상버스를 도입, 현재 전체 시내버스 1천531대의 37%인 567대나 되지만 이용자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저상버스 이용에 따른 불편함에다 다른 승객의 눈치까지 보느라 이용을 꺼릴 수밖에 없는 분위기 탓이다.

저상버스는 장애인과 노약자 등 교통약자를 위해 특수 장치를 갖춘 설계로 제작된 만큼 일반 버스보다 1억원 가까이 비싸다. 대구시는 그동안 보급 확대를 위해 예산을 투입한 결과, 현재 전국 평균(28.4%)보다 높은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2022년까지 814대로 늘려 보급할 목표 아래 해마다 50억~60억원을 들일 계획이다. 비록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저상버스 예산을 일부 줄이긴 했지만 당초 목표대로 추진하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문제는 고가의 저상버스를 늘리는 정책과 달리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외면이 심각한 사실이다. 배차 간격 등 무엇보다 저상버스 이용에 따른 불편이 문제겠지만, 장애인의 더딘 승차 등에 따른 다른 승객의 부담스러운 시선을 지적할 만하다. 저상버스를 타고 내리는 시간이 보통 3, 4분 걸리면서 다른 탑승객의 시선을 의식한 장애인들이 심리적 압박감 탓에 버스를 꺼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들의 당당한 이용을 배려하는 인식이 절실하다.

이제 저상버스 도입 16년이 흐른 만큼, 대구시는 보급 중심 정책의 장단점 점검에도 나설 시점이 됐다. 또한 서울과 부산이 지난해부터 시행한 교통약자를 위한 사전 예약제 방안도 눈여겨볼 일이다. 아울러 현재 이용 선호도가 높은 교통약자 전용 호출 택시인 '나드리콜'의 활성화도 병행할 만하다. 이는 교통 예산의 효율을 높이고 현재 나드리콜이 안고 있는 오랜 대기시간 등의 문제 해소도 가능한 데다 교통약자로서는 반길 수 있는 대안이어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