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댐 방류, 또 저지…도의회 "원점 재검토하라"

입력 2020-10-16 17:54:55 수정 2020-10-16 20:01:27

환경부, 주민 항의에 '잠정 보류'…사회단체 회원들 저지 합세
24시간 '당직 감시'…도의회도 일방적 결정 비판

영주 평은면 지역 주민들이 영주댐 하류 500m 지점 물 속에 들어가 앉아 있다. 마경대 기자
영주 평은면 지역 주민들이 영주댐 하류 500m 지점 물 속에 들어가 앉아 있다. 마경대 기자

경북 영주댐 방류를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 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부가 16일 댐 방류를 재시도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거센 항의에 부딪혀 방류를 하지 못했다.

영주댐수호추진위원들과 새마을단체 회원들은 이날 오전부터 영주댐 하류 지점 하천으로 들어가 방류저지에 나서는 한편 수자원공사 영주권지사를 방문, 댐 방류 계획을 철회하라고 항의했다.

이에 수자원공사 영주권지사는 이날 오전 11시 방류 계획을 철회하고 잠정 보류 결정을 내렸다.

수자원공사 영주권지사 관계자는 "주민 반대로 환경부가 영주댐 방류 계획을 하루 유보했지만 결국 댐 하류에 텐트를 치고 천막 농성을 하는 주민들의 안전을 고려해 16일 방류 계획도 잠정 보류했다"며 "환경부는 주민 안전 등을 고려한 방류기회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영주댐수호위원회와 영주지역 30여 개 사회단체 회원들은 하루 12시간씩 순번제로 방류저지에 나서고 있다. 낮 시간 때는 사회단체 회원들이 지역주민들과 합세해 지키고 있고 밤 시간대는 지역주민들이 하천 안에 쳐놓은 텐트에서 밤을 지세우며 방류를 저지하고 있다.

영주댐 인근 주민들과 사회단체 회원들이 수자원공사 영주권지사를 찾아가 방류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영주댐 인근 주민들과 사회단체 회원들이 수자원공사 영주권지사를 찾아가 방류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한편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도 16일 "영주댐 방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댐 운영을 조기에 정상화하라"고 촉구했다.

위원회는 이날 성명에서 "영주댐은 낙동강 수질 개선과 각종 용수 확보, 홍수 피해 경감 등을 위해 1조1천억원이나 투입한 국책사업이다"며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민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댐 방류를 결정했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자체와 지역민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무석 경북도의원(농수산위원회, 영주2)도 이날 경북도의회 제31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환경부의 영주댐 방류 결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임 도의원은 "영주댐은 인근 안동·예천·상주 등 인근 4개 시군의 각종 용수 공급 및 수력발전과 내성천 수질개선, 홍수피해 경감 등을 목적으로 조성한 다목적댐이다"면서 "영주댐 방류는 안정성 평가와 수질 및 생태계,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에 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