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주민 항의에 '잠정 보류'…사회단체 회원들 저지 합세
24시간 '당직 감시'…도의회도 일방적 결정 비판
경북 영주댐 방류를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 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부가 16일 댐 방류를 재시도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거센 항의에 부딪혀 방류를 하지 못했다.
영주댐수호추진위원들과 새마을단체 회원들은 이날 오전부터 영주댐 하류 지점 하천으로 들어가 방류저지에 나서는 한편 수자원공사 영주권지사를 방문, 댐 방류 계획을 철회하라고 항의했다.
이에 수자원공사 영주권지사는 이날 오전 11시 방류 계획을 철회하고 잠정 보류 결정을 내렸다.
수자원공사 영주권지사 관계자는 "주민 반대로 환경부가 영주댐 방류 계획을 하루 유보했지만 결국 댐 하류에 텐트를 치고 천막 농성을 하는 주민들의 안전을 고려해 16일 방류 계획도 잠정 보류했다"며 "환경부는 주민 안전 등을 고려한 방류기회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영주댐수호위원회와 영주지역 30여 개 사회단체 회원들은 하루 12시간씩 순번제로 방류저지에 나서고 있다. 낮 시간 때는 사회단체 회원들이 지역주민들과 합세해 지키고 있고 밤 시간대는 지역주민들이 하천 안에 쳐놓은 텐트에서 밤을 지세우며 방류를 저지하고 있다.

한편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도 16일 "영주댐 방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댐 운영을 조기에 정상화하라"고 촉구했다.
위원회는 이날 성명에서 "영주댐은 낙동강 수질 개선과 각종 용수 확보, 홍수 피해 경감 등을 위해 1조1천억원이나 투입한 국책사업이다"며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민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댐 방류를 결정했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자체와 지역민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무석 경북도의원(농수산위원회, 영주2)도 이날 경북도의회 제31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환경부의 영주댐 방류 결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임 도의원은 "영주댐은 인근 안동·예천·상주 등 인근 4개 시군의 각종 용수 공급 및 수력발전과 내성천 수질개선, 홍수피해 경감 등을 목적으로 조성한 다목적댐이다"면서 "영주댐 방류는 안정성 평가와 수질 및 생태계,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에 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