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北에 5억불 송금 문건있어"…박지원 "서명한적 없어"

입력 2020-07-27 13:14:33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박 후보자 "나는 대북송금과 관련없다" 주장
주호영, 5억불 송금 내용과 박 후보자 서명 담긴 문건 공개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박 후보자의 서명(?)이 담긴 남북 합의서를 보여주며 질의하고 있다. 박 후보자는 이에 대해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박 후보자의 서명(?)이 담긴 남북 합의서를 보여주며 질의하고 있다. 박 후보자는 이에 대해 "저는 기억에 없습니다"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27일 대북송금 사건에 대해 "나는 관련되지 않았다"며 적극 부인했다. 이에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북한과의 이면합의서를 공개해 박 후보자의 대북송금 의혹을 이어갔다.

박 후보자는 이날 오전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대중 정부 시절 대북송금 사건에 연루된 것과 관련된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이개호 의원의 질의에 "북한에 불법송금한 관계가 없고, 2000년 6.15 남북정상 회담 때 정부 돈이 1달러도 들어 간 적이 없다"고 답했다.

또 "금강산 관광 등 7가지 사업의 대가로 현대가 지불했다고 하는 것은 이미 역사적으로 사법적으로 밝혀진 사실"이라며 "현대가 북한으로 송금하는 과정에서 국정원 계좌를 활용했다는 혐의로 판결을 받았지만, 저는 어떤 계좌를 통해 현대가 북한으로 송금했다는 것을 모르는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조태용 미래통합당 의원의 질의에도 "저는 북한에 불법송금한 관계가 없다"며 "저는 개입하지 않았고 제가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밀사 특사할 때도 북한에서 그러한 요구를 했을 때 단호히 거부를 했다"고 해명했다.

박 후보자는 지난 2000년 대북 특사로 활동하면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역사상 첫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후 현대그룹이 북한에 4억5천만달러를 국정원 계좌를 통해 보낸 사실이 드러났고, 이 중 남북정상회담에 관련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금 1억달러가 포함돼 있다는 결론이 내려지면서 2003년 6월 18일 불법 대북송금 사건과 직권남용, 외국환거래법 및 남북교류협력법 위반 혐의로 구속됐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당시 박 후보자의 서명이 담긴 이면합의서를 공개하며 대북송금 의혹에 다시 불을 지폈다.

주 원내대표는 남북정상회담 전 합의내용을 담은 '4.8남북합의서'의 비밀합의서라며 '경제협력에 관한 합의서'라는 문건을 내보였고, 여기에는 "남측은 북측에 2000년 6월부터 3년동안 25억달러의 투자 및 경제협력 차관을 사회간접부분에 지출한다. 남측은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5억달러를 제공한다" 등의 내용과 함께 박 후보자의 서명이 담겨있었다.

주 원내대표는 "만약 이 문건이 사실이라면 박 후보자의 증언은 모두 거짓이 된다"며 "본인의 서명한 사실이 정말로 없냐"고 묻자, 박 후보자는 "서명한 기억이 없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