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 2019년 3월 착수·12월 종료→환경부 "2020년 초 발표"→7월 28일까지 연장→9월 28일 종료로 또 미뤄
용역 결과 반영 최종 대책은 낙동강물관리위원회 심의 이후 올 연말이나 돼야 나올 듯
환경부가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를 포함한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관련 연구용역을 좀처럼 마무리 짓지 못하고 종료 기한을 또 미뤘다.
용역 결과를 반영한 최종 대책은 올 연말쯤에야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정치권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오는 28일 종료를 앞둔 '낙동강 유역 통합 물관리 방안(이하 통합 물관리)' 연구용역 기간을 두 달 늘려 9월 28일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와 지방자치단체 의견 수렴이 필요해 연장이 불가피하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용역 결과를 반영한 낙동강 통합 물관리방안 대책은 12월쯤 '낙동강물관리위원회'에 상정한다는 계획이라, 결국 최종 대책은 위원회 심의 이후 연말에나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구미산단 폐수 무방류 시스템 적용방안(이하 무방류시스템)' 연구용역은 예정대로 이달 28일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이지만, 통합 물관리 용역과 함께 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결과를 알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용역은 애초 '2019년 3월 29일 착수, 12월 종료'에서 무려 세 차례나 미뤄지게 됐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지난해 6월 대구를 방문해 "연내 낙동강 물 문제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공언했으나, 그해 12월 "취수원 갈등 문제의 경우 연말이면 윤곽이 나와 내년 초에 발표할 것"이라며 올해 초로 말을 바꿨다.
그러나 환경부는 2020년 업무계획을 통해 "상반기 중 낙동강 물 문제 해결 대책을 확정짓겠다"며 용역 기한을 7월 28일까지 다시 연장한 데 이어 오는 9월 28일까지 또 늦춘 것이다.
지역 전문가들은 용역 결과에 대한 지자체 합의가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고, 무방류 시스템은 폐기물 처리, 운영비 부담 등을 두고 난항(매일신문 2일 자 1·3면 보도)을 겪고 있는 등의 상황이 연장 배경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환경부가 이미 윤곽이 나온 용역을 손에 쥐고 시간만 끌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면서 "대구시민들은 먹는 물 문제에 수년간 애를 태우고 있고, 최근 전국적인 수돗물 불안으로 인해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환경부는 더 이상 미루지 말고 대책을 조속히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11~12월쯤 낙동강물관리위원회 상정을 목표로 앞으로 두 달 남은 용역을 마무리 짓는 게 가장 우선"이라며 "두 용역은 같이 묶어 발표할 것으로 보이고 연내 최종 발표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