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도 넘은 ‘박정희 흔적 지우기’, 역사 부정일 뿐

입력 2020-07-10 06:30:00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을 맞아 한국도로공사가 김천 추풍령휴게소에 세운 기념비와 명패석이 논란을 사고 있다. 건설을 주도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 이름이 빠졌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권 들어 갈수록 노골화하는 '박정희 흔적 지우기'의 하나란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경부고속도로는 '박정희 시대'의 상징 중 하나다. 경제 성장과 산업화의 초석이 되면서 조국 근대화를 가능케 했고 국민에게 '하면 된다'는 정신을 고취시켰다. 경부고속도로는 박 전 대통령의 '작품'이다. 건설 결정부터 준공까지 박 전 대통령의 의지·노력이 없었다면 도로는 태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당시 야당은 물론 학계, 언론은 "국가 재정이 파탄 난다"는 이유 등으로 격렬하게 반대했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은 직접 지도에 서울부터 부산까지 연필로 도로 노선을 그리고, 인터체인지를 스케치하고, 점퍼 차림으로 현장을 찾아 근로자들을 격려하는 등 열정을 쏟았다. 덕분에 착공 후 2년 5개월 만인 1970년 7월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됐다. 전국이 일일생활권이 되면서 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도로공사가 세운 기념비와 명패석엔 건설부 장관을 비롯해 관료, 국방부 건설공병단 장교, 설계 건설업체 관계자 등 530여 명의 이름이 새겨졌다. 하지만 대역사(大役事)를 진두지휘한 박 전 대통령 이름은 기념비와 명패석 어디에도 없다. 1970년 세운 준공탑에 박 전 대통령 휘호가 들어 있어 뺐다는 도로공사 해명은 가당치 않다. '5000년 역사에 유례없는 대토목 공사' '조국 근대화의 초석' 같은 의미를 부여하면서 박 전 대통령 이름을 뺀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 50주년을 맞아 작년 11월 건립된 기념비에도 박 전 대통령 이름이 빠지는 등 '박정희 흔적 지우기'가 비일비재하다. 반면 박 전 대통령의 부정적 면을 다룬 영화, 방송은 쏟아지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의 공(功)은 파묻고 과(過)만 드러내려는 정권의 의도가 묻어나는 현상들이다. 역사 왜곡을 넘어 역사 부정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