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상공인 폐업 큰 폭 증가…‘코로나 충격’ 차단에 힘 모으자

입력 2020-03-30 06:30:00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서민경제 붕괴를 보여주는 지표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작년 5%대에 그쳤던 소상공인 폐업 증가율이 올 1분기엔 20%대로 치솟았다. 고객 감소로 비명을 지르는 외식업체들도 부지기수다. 장기간 경기 침체 속에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이 코로나 충격으로 존폐 갈림길에 내몰렸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소상공인이 폐업할 때 지급하는 노란우산 공제금 지급 건수가 올 들어 대폭 증가했다. 지난 1월부터 이달 25일까지 지급 건수가 2만2천453건으로 2019년 동기보다 20.2% 늘었다. 작년엔 지급 건수 증가율이 5%대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코로나 사태에 따른 소상공인 '폐업 도미노'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셈이다. 또한 한국외식업중앙회가 회원업소 600곳을 조사한 결과 95.2%가 고객이 줄었다고 답했다. 두 통계를 비롯해 앞으로 서민경제 침몰을 입증하는 지표들이 속출할 것이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대다수는 재무 구조가 열악한 탓에 1~2개월 정도 영업을 못하는 것만으로도 가게나 공장 문을 닫아야 하는 처지가 되기 십상이다. 여기에 대부분이 이미 대출이 많은 실정이어서 은행에서 추가 대출을 받기도 쉽지 않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매출은 크게 줄고 직원 월급은 줘야 해 울며 겨자 먹기로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이나 사채를 빌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마저도 여의치 않으면 눈물을 쏟으며 폐업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동시다발적 집단 폐업 사태가 벌어질 우려가 크다.

정부는 100조원에 이르는 긴급자금을 기업과 금융시장에 투입하기로 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지원을 받기 어렵다는 아우성이 터져 나오고 있다. 소상공인을 위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직접대출은 여전히 혼잡·혼선을 빚고 있다. 아무리 돈을 풀더라도 필요한 이들에게 적시에 도달하지 않으면 '그림의 떡'이다. 기다리다 죽게 생겼다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의 절규를 정부는 적극 경청해 발 빠른 지원으로 경제 약자들을 사지(死地)에서 구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