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다시 중대 국면…문대통령, 한 달간 북미 중재 행보 집중
북미 '딜' 결과 따라 金 답방 시기·의제 연동…중반기 국정 운영 중요 변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 일정이 윤곽을 드러내,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길잡이' 역할을 한 문재인 대통령의 발걸음도 다시 빨라지고 있다.
구체적 날짜 공개만 남겨뒀을 뿐 '북미정상회담 2월 말 개최' 자체는 기정사실이 됐으며, 이제 초점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 사이에서 북미가 어떻게 '주고받기'를 하느냐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2월 말까지 남은 한 달 여 동안 북미가 생산적이고 진전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물밑에서 양측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내에서도 지금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를 끌어내기 위한 중재 행보에 모든 외교력을 쏟아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 모습이다.
청와대의 이런 인식은 올해 상반기 '최대 이벤트' 중 하나로 꼽히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를 대하는 태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현재로서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북미정상회담 이후인 3월∼4월 중 이뤄질 것으로 점쳐진다.
김 위원장이 3·1절 100주년 기념식에 맞춰 답방할 수 있다는 예측도 있었으나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고려하면 너무 촉박하다는 지적이 나오며, 이에 따라 3월 중순∼4월 사이가 합리적인 답방 시기라는 관측이 자연스럽게 힘을 얻고 있다.
다만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에 대한 질문이 나올 때마다 "지금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이 우선"이라며 답방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는다고 선을 긋고 있다.
여기에는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 및 의제 역시 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연동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만일 북미 협상이 제대로 진전을 보지 못할 경우,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에 대해 느끼는 부담 역시 커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북제재 문제에 대해 북미가 평행선을 달린다면 남북 정상의 논의 폭도 상당히 좁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김 위원장의 답방 논의도 지지부진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따른다.
청와대 관계자는 20일 "북미정상회담에서 좋은 협상 결과가 나와야, 이를 바탕으로 남북관계 개선 행보 역시 탄력을 받는 것"이라고 짚었다.
댓글 많은 뉴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