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성 예금은 1년 전보다 6.5% 늘어
수시로 찾을 수 있는 '떠돌이 돈'인 요구불예금의 증가속도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올라 정기예금의 매력이 커지자 요구불예금에서 저축성예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지난해 3분기 국내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194조5천446억원으로 1년 전보다 2.0% 늘었다. 전년 대비 3분기 증가율이 2010년 3분기(-1.6%) 이후 가장 낮았다. 요구불예금은 예금주가 지급을 원하면 언제든지 지급하는 예금이다.
요구불예금은 2014년 3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정기 예·적금의 매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요구불예금 증가율이 낮아졌다. 2015년 3분기에 32.1%까지 올랐던 것이 2017년 4분기에 한 자릿수인 8.0%로 내려갔다.
반면 정기 예·적금과 같이 일정 기간 은행에 예치한 후 돌려받을 수 있는 저축성 예금은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3분기 저축성 예금 잔액은 1천175조1천612억원으로 1년 전보다 6.5% 늘었다.
한국은행은 "요구불예금에 묶였던 부동자금이 금리 인상 이후 저축으로 옮겨간 것"이라며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비율) 규제가 강화되며 은행이 정기예금 영업을 강화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