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공인중개사가 올해 집값에 대해 수도권은 보합 또는 하락을, 지방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감정원이 7일 발표한 '2019년 주택시장 전망'에 따르면 매매는 하락(51.0%), 전·월세는 보합(전세 52.1%, 월세 60.0%)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의 경우 매매·전세·월세 모두 보합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지방은 매매는 하락(56.0%), 전·월세는 보합(전세 52.3%, 월세 56.6%)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매매시장에 있어서는 하락 응답(51.0%)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48.7%)과 서울(49.7%)은 보합 응답이 우세한 반면 지방(56.0%)은 하락 응답이 우세했다.
하락 전망 이유는 ▷대출규제 강화(LTV, 新DTI, DSR 등)로 차입여력 축소(43.5%) ▷공급물량 증가(신규분양, 입주물량, 미분양 등 증가)(26.9%) ▷지역 기반산업 및 경기 침체(10.5%) ▷보유세 개편, 다주택자 규제 등 정부 규제(9.6%) 등의 순이었다.
상승 전망 이유는 ▷개발호재(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조성 등)(35.2%) ▷신축 및 신규분양시장 호조 영향으로 인근 동반상승(18.2%) ▷대체투자처 부재로 인한 풍부한 부동자금 지속 유입(13.6%) 등의 순이었다.

특히, 서울지역은 매매가격(보합 49.7%, 하락 45.2%)과 전세가격(보합 54.5%, 하락 39.1%) 모두 대다수 보합 또는 하락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락 전망 이유로는 매매가격은 대출규제 강화로 인한 차입여력 축소(61.6%)를, 전세가격은 전세 공급물량 증가(46.3%)로 응답했다.
월세시장에 대해서는 수도권(63.1%), 서울(64.5%), 지방(56.6%) 모두 보합 응답이 우세했다.
월세 하락 전망 이유로는 ▷전세공급물량 증가 및 전세가격 안정으로 월세수요 감소(36.7%) ▷신규주택의 월세공급물량 증가(29.7%) ▷임대인의 월세전환으로 월세공급물량 증가(21.7%) 순이었다.
상승 전망 이유는 ▷전세가격 상승 부담 등으로 월세전환 증가(29.8%) ▷전세자금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반사효과로 월세수요 증가(24.6%) ▷기타(집주인들의 세금 전가, 금리상승 영향 등)(17.5%)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국의 한국감정원 협력공인중개사 6천 명을 대상으로 부동산시장동향 모니터링 시스템(RMS)을 활용해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2018년 12월 7일부터 11일간 모두 1천868명이 응답한 결과다.
댓글 많은 뉴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