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부터 '성당못역'→'서부정류장역', '신남역'→'청라언덕역'으로 바뀌어

입력 2019-01-06 18:41:25 수정 2019-01-06 19:37:18

대구시 도시철도역, 교량, 공원 등 23곳 명칭 변경하거나 신설

대구도시철도 신남역.
대구도시철도 신남역.

대구시내 일부 도시철도역과 교량, 공원 등 23곳의 명칭이 새로 생기거나 바뀐다.

대구시는 최근 공공용물 명칭 제·개정 심의위원회와 시정조정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교차로 및 공원 등 10곳의 명칭을 확정하고, 13곳의 이름을 바꿨다.

이에 따라 도시철도 1호선'성당못(관문시장)역'은 '서부정류장(관문시장)역'으로, 도시철도 2·3호선 '신남역'은 '청라언덕역'으로 변경된다.

성당못역은 역과 성당못과 거리가 먼데다 성당못역 이용객 중 상당수가 서부정류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했다. 중구 대신동과 남산동의 중간지점인 신남네거리에 있다는 이유로 명칭이 붙었던 '신남역'도 근대문화골목 등 역사적·문화적으로 의미가 있는 '청라언덕역'으로 변경됐다.

청라((靑蘿 ; 푸른 담쟁이)언덕은 대구 중구 골목투어 중 하나인 '근대문화골목' 코스에 포함되며, 청라언덕을 시작으로 3.1 만세운동길, 전통문화체험관, 계산성당, 이상화, 서상돈 고택으로 이어진다.

도시철도역과 주변 교차로 및 교량의 명칭이 달라 혼돈을 빚었던 시설물의 이름도 변경됐다. 3호선 칠곡운암역과 가까운 동천교네거리는 운암교네거리로, 동천교도 운암교로 바뀌었다. 동천역 인근의 대동교네거리는 동천교네거리로, 대동교는 동천교로 명칭을 개정했다.

특색이 없거나 택지개발 당시 설계 편의상 붙였던 공원 이름들도 주민들에게 익숙하고 지역 특성을 살린 이름으로 변경했다. 수성구 범어시민공원은 야시골공원으로, 달서구 월배6공원은 흐르네공원으로 이름을 바꿔 달았다. 달서구 대곡2체육공원과 대곡2지구1호근린공원은 각각 월배체육공원과 한실공원으로 변경했다.

그동안 명칭이 없던 교차로와 신설 교량 및 공원 등은 새 이름을 갖게 됐다. 인구 증가로 통행량이 늘어난 월성동 학산초교 앞 네거리는 월성북네거리로, 송일초교 앞 네거리는 월성남네거리로 이름을 부여했다.

대구출판산업단지 앞 네거리는 출판산업단지네거리로 이름을 붙였다. 율하천을 따라 신설된 교량에는 율하천1교와 율하천2교, 율하천7교로 명명됐다. 지묘동 한들교와 동변동 화담공원도 신설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제·개정이 확정된 공공용물은 해당 구·군과 대구도시철도공사 등에서 새로운 명칭에 맞춰 시설물을 정비할 예정"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