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박음식점 법인의 절반은 손실…반도체 등 전자부품 산업은 호황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결과 국내 주요 제조업체 중 손실을 낸 기업의 비율이 2017년에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6일 통계청애 따르면 조사 대상 제조업체 중 연간 순이익률이 0% 미만인 기업 비율은 2016년 18.6%였던 것이 2017년 22.8%로 4.2%포인트(p) 늘었다. 순이익률은 매출액 중 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순이익률이 0% 미만이라는 것은 해당연도에 순손실을 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7년 순손실을 낸 제조업 기업의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24.7% 이후 9년 만에 가장 많았다.
반면 순이익률 10% 이상을 기록한 제조업 기업의 비율은 2016년 14.1%에서 2017년 13.0%로 1.1%p 하락했다. 주력 산업 구조조정 등이 제조업 기업 실적 악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반도체 산업 등은 호황을 누렸다. 반도체 산업이 포함된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은 순이익률 10% 이상인 기업의 비율이 2016년 12.2%에서 2017년 13.9%로 상승했다.
자영업자 등이 다수 종사하는 숙박 및 음식점업은 업황이 악화했다. 이들 업종에서 순손실을 낸 기업의 비율은 2016년 42.7%에서 2017년 47.4%로 4.7%p 증가했다. 통계청이 기업활동조사 통계를 제공한 2006년 이후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손실을 낸 기업의 비율은 2017년이 최고였다.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는 국내에서 산업 활동을 하는 회사법인 중 상용근로자 수가 50인 이상이고 자본금이 3억원 이상인 기업체를 상대로 한다. 다만 도소매업 및 서비스업, 기타 서비스업은 상용근로자 50인 미만이더라도 자본금이 10억 이상인 경우 조사대상에 포함한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