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환경·사회단체 활동가와 교수·작가 등 30여 명으로 구성된 낙동강 시민조사단의 낙동강과 금호강 일대 오염 실태 현장 확인은 의미 있는 일이 됐다. 대구 달성습지 주변부터 시작해 대명천·진천천, 금호강, 낙동강 안동댐 및 상류 석포제련소까지의 조사에서 분명히 확인한 것은 오염의 심각함과 오염 환경을 그냥 둘 수 없다는 사실의 절감이다.
조사단이 이번에 살핀 낙동강 등 여러 현장의 심각한 오염 원인은 공장 오·폐수는 물론, 가정에서 쓰고 버린 물까지 뒤섞여 범벅인 때문으로 분석됐다. 강에 고인 탁한 물 곳곳에서 생기는 기포와 악취는 생생한 증거였다. 공단 오·폐수는 만성적이고, 생활하수 찌꺼기는 낡은 옛 하수처리시설로 빗물과 분리하지 않고 모았다가 함께 흘려보낸 탓으로 지목됐다.
낙동강 중류인 대구 주변처럼 상류인 안동댐과 봉화 석포제련소 주위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석포제련소 주변 환경 오염 논란은 수십 년 동안 여전하다. 이처럼 공장과 가정에서 흘러나온 오염 물질이 근본적으로 처리되지 않으니 강 오염 반복은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조사단 참여 시민들이 확인하고 인정한 셈이다.
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뤄진 시민조사단의 활동 결과는 낙동강과 금호강 등 오염으로 신음하는 강과 내(川)의 환경을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됨직하다. 또한 오염 대책 마련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했을 터이다. 참여 시민 스스로 오염의 심각성을 절감한 데다 오염원을 재인식, 각자의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체험하게 된 까닭이다.
환경 당국도 그냥 있어서는 안 된다. 이번 조사 활동에서 지목된 오염원의 처리 대책 마련에 고민해야 한다. 공단 오·폐수 단속은 기본이고, 가정 방류 하수와 빗물을 분리해 강으로 흘려보내는 하수처리시설이라도 제대로 갖추는 일도 빼놓을 수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