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지역업체 참여율 높여라

입력 2018-09-03 18:19:24

천문학적인 대구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을 외지업체가 독식하고 있다는 지적(본지 7월 25일자 1ㆍ3면)에 대해 대구시가 지역건설업체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대구시는 3일 '지역 건설업체 정비사업 참여율 향상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지역 건설업체 및 협회 관계자뿐 아니라 재건축ㆍ재개발 조합장 등 30여명이 참석해 외지업체 독식 사태 해결에 머리를 맞댔다.

지난 수년간 분양 열기로 대구 아파트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정작 수주 경쟁에서는 지역업체 소외 현상이 고착화되면서 역외 자본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월 기준 올해 대구 민간발주 공사액은 4천771억원으로 이 가운데 3천21억원(76.3%)을 외지업체가 수주한 반면 외지업체의 지역 하도급률은 고작 34.4%(1천39억원)에 그쳤다.

이런 가운데 단지별 수천억원이 걸린 대구 재건축ㆍ재개발 정비사업을 외지업체가 싹쓸이하면서 지역 자본 역외 유출이 더욱 가속화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시공사 선정을 끝낸 69개 정비사업장 가운데 지역업체가 수주한 단지는 고작 13곳(19%)에 불과하다.   

업계는 외지업체 독식 사태에 대한 해법으로 지역업체 용적률 인센티브 홍보와 상향 조정을 집중 건의했다. 대구시는 올해부터 지역업체가 참여하는 재건축ㆍ재개발 사업장에 최대 15%의 용적률 인센티브를 적용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약발이 먹히지 않기 때문이다.

노기원 대한주택건설협회 대구시회장은 "용적률의 경제적 가치에 대해 해당 조합원들이 전혀 모르고 있다. 대구시가 직접 나서 해당 조합마다 용적률 인센티브에 대한 정보를 공지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종수 대한건설협회 대구시회장은 "용적률 인센티브도 기존 15%에서 20%로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수도권 메이저 업체에 맞설 보다 강력한 무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상길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업계 건의사항에 대한 법적ㆍ제도적 검토를 통해 지역업체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겠다. 아울러 저조한 지역 하도급률을 높이기 위해 대구시와 구ㆍ군청 협의를 강화해 특단의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