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명칭 '박정희' 빠지나

입력 2018-09-04 17:53:01 수정 2018-09-04 21:11:48

구미시가 내년 연말 개관 예정으로 신축 중인 구미 상모동
구미시가 내년 연말 개관 예정으로 신축 중인 구미 상모동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명칭 변경을 두고 고민을 하고 있다. 전병용 기자

구미시가 신축 중인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명칭을 두고 '박정희' 이름을 뺄 것인 지에 대해 깊은 고민에 빠졌다.

구미시는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대신 '구미 근현대사 박물관', '구미 공영박물관' 같은 명칭으로 개관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은 구미시 상모동 박 전 대통령 생가 옆에 사업비 200억원을 들여 내년 연말 준공 예정으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대지면적 7만7천21㎡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전시장과 전문박물관 등이 들어선다. 그동안 구미시는 박 전 대통령의 생가와 동상을 조성하는 등 박 전 대통령 업적 홍보에 앞장서 왔다.

그러나 지난 6·13 지방선거 때부터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건립을 놓고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선거에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구미시장은 박정희 대통령 관련 각종 사업에 대해 전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장 시장 취임 이후 공사 중단부터 폐관까지 각종 소문이 돌았다.

구미시 관계자는 "근현대사 박물관을 지으면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업적과 유품을 빼놓을 수 없기 때문에 고민"이라며 "시민단체 등의 부정적인 시각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전시물도 '박 전 대통령 유품' 외에 구미 근현대사 관련 유물, 삼성과 LG가 구미 공단에서 만든 최초의 제품 등이 더해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개관 후 전시물로 들어가는 박 전 대통령의 유품은 총 5천670점이다. 기념품·미술품·공예품·생활용품·사무용품·가구류·기록물 등으로 구분돼 있다. 박 전 대통령이 생전에 국내 외에서 선물로 받아 보관하거나 직접 사용하던 물건들이다. 유품들은 지난 2004년부터 구미시 선산읍 구미시청 선산출장소에 보관 중이다.

이와 관련해 구미참여연대는 3일 '박정희 기념사업의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참여연대 측은 "구미시가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의 용도를 변경하겠다고 해놓고 아직까지 명확한 발표가 없다. 지난 20여년간의 잘못된 행정을 과감히 혁신하려는 의지가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반대 여론도 거세다. 한 시민은 "구미는 박 전 대통령 고향이고, 구미국가산업단지도 박 전 대통령이 만들어 내륙 최대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다"며 "이러한 박 전 대통령의 업적을 보존하기 위해 만들기로 한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인데 갑자기 박 전 대통령의 흔적 지우기를 하려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구미시 관계자는 "명칭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내년 상반기쯤에 확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박정희 대통령 탄생 100돌을 맞아 2017년11월14일 구미 상모사곡동 박정희 대통령 생가 기념공원에서 열린 역사자료관 기공식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를 비롯한 참석 내빈들이 시삽을 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박정희 대통령 탄생 100돌을 맞아 2017년11월14일 구미 상모사곡동 박정희 대통령 생가 기념공원에서 열린 역사자료관 기공식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를 비롯한 참석 내빈들이 시삽을 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