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러시아 각각 발음 표시
지역의 한 교수가 언어적 장애로 어려움을 겪는 한국 거주 고려인들을 위해 한국어 회화책을 펴내 화제다.
계명대에 따르면 최근 이 대학 러시아어문학 전공 정막래(50'여'사진) 교수가 한국어 일상회화 책인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금철사랑, 111쪽)를 펴냈다.
현재 국내에는 약 4만5천 명의 고려인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안산, 인천, 부산, 광주 등 전국 각지에서 집거지를 형성해 살고 있는데 대부분 언어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 교수는 "일부 고려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과 소통 문제 등으로 힘겨운 삶을 살고 있다"며 "우리 민족인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고 싶어 이번에 책을 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러시아어문학을 가르치며 오래전부터 고려인 연구를 해왔다. 방학 때는 광주 고려인마을에 직접 살기도 했다.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는 고려인들과 같이 생활하면서 그들이 꼭 필요로 하는 한국어 일상 회화를 정리해 만들었다. 특히 이 책에는 러시아어와 한국어로 같이 표기돼 있으며 한국어 다음에 러시아어를 발음으로 표시해둬 혼자서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책 발간에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국립사범대에서 한국어과를 졸업하고 현재 광주고려인마을 자녀돌봄센터 교사로 일하고 있는 강로자(29'여) 씨도 참여했다.
이와 함께 정 교수는 국내 거주 고려인들의 애환을 담은 시집 '광주에 내린 첫눈'(금철사랑, 151쪽)도 번역해 이번에 내놓았다. 이 시집은 김 블라디미르(61) 씨가 한국에서 생활하며 느끼고 경험한 것들을 표현한 35편의 시가 담겨 있다. 한국에서 일용직 노동자로 살았던 그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문화대학에서 교수로, 의과대학에서 러시아어문학과 학과장을 재직하는 등 엘리트로 살았다. 하지만 어머니의 유언으로 2010년 한국에 들어와 살았다. 이 시집은 그 과정에서 힘든 노동과 차별, 우즈베키스탄 생활에 대한 그리움 등을 표현하고 있다.
정 교수는 "김 블라디미르 씨는 이 시집을 통해 한국 사람들이 고려인들을 차별하지 않고 같은 한국인으로 대우해주길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