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 노팁 선언

입력 2015-11-13 02:00:04

지난 2002년 말 독일어학회는 올해의 단어로 '토이로'(Teuro)를 선정했다. 토이로는 '비싸다'는 뜻의 독일어 토이어(teuer)와 유로(Euro)를 합성한 신조어다. 2002년 1월 1일부터 독일 등 EU 12개국에 유로화가 도입되면서 물가가 크게 올랐다는 의미로 당시 독일 사회 분위기를 잘 대변하는 용어다.

당시 1유로는 1.95583마르크(DM) 비율로 바꿔 주었는데 거스름돈 계산이 어려워지자 물품 가격의 끝자리를 올리면서 물가 인상 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독일연방은행도 보고서를 통해 유로화 도입 초기 식당과 이'미용실, 세탁소, 극장 등 서비스업 물가가 많이 올랐다고 인정했다. 특히 음식값을 치르고 남은 잔돈으로 팁을 주는 데 익숙한 소비자들이 유로화 잔돈을 팁으로 남겨 두면서 팁이 자연스레 두 배 가까이 오르자 고객 불평도 그만큼 높아졌다.

흔히 팁은 에티켓이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무척 낯선 문화다. 유래가 명확하지 않지만 팁은 18세기 영국의 한 선술집에서 신속한 서비스를 보장하겠다는 뜻에서 항아리에 동전을 넣게 한 것이 출발이라고 한다. 'To Insure Promptitude' 글귀의 첫 음절(TIP)에서 나왔다는 주장이다.

이런 팁 문화가 유럽에서 미국에 전해져 이용료의 10% 수준의 팁은 미국 전통이자 불문율로 인식됐다. 뉴욕 등 대도시의 경우 15%의 팁이 기준이다. 팁은 종업원의 낮은 임금을 보전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최근 아시아적 사고방식으로 직원 임금은 업주의 몫인데도 서비스를 이유로 고객에게 부담을 지운다는 인식도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팁 액수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도 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키운다. 터치스크린 결제가 보편화하면서 뉴욕의 일부 카페의 경우 아예 25%, 50%, 75%의 팁 버튼을 표시해 고객 불만이 높다고 한다. 4달러짜리 커피 한 잔 마시고 카드로 결제하면서 1달러, 2달러, 3달러의 버튼을 눌러 팁을 지불해야 하는 현실이 문제가 된 것이다.

상황이 이렇자 분쟁을 피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노팁 문화가 서서히 번지고 있다. 최근 일부 유명 레스토랑 체인이 '노팁'(No-Tip)을 선언하는 등 분위기가 확산하는 중이다.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해 최저임금을 대폭 올리는 시대적 추세에다 과도한 팁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가 몰고 온 현상이다. 무엇이든 상식선을 넘어서면 반작용도 크다는 사실을 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