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에는 주로 '없다'와 어울려 쓰이는 말들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싸가지' '염치' '야마리' '얌통머리' '재수'와 같은 말이다. '없다'라는 말과 결합하여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다 보니 "걔 완전 싸가지야" "그 남자 왕재수야"와 같은 식으로 아예 부정적인 의미로 굳어진 경향이 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없는 것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다면 있는 것은 좋은 의미를 가져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렇다면 '싸가지가 있다'고 하면 예의가 바르고 겸손하면서 배려심이 있는 것에 대한 칭찬일 텐데 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일까?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싸가지'는 '싹수'(어떤 일이나 사람이 앞으로 잘될 것 같은 낌새나 징조)의 방언이라고 나와 있다. 이때 '싸가지'는 '싹+아지'로 분석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아지'는 '송아지, 망아지, 강아지'처럼 작은 것을 나타내는 데도 사용되고, '꼬라지(꼴+아지), 따라지(딸+아지)'와 같이 낮추어 표현하는 데도 사용된다.
그런데 '싹수'는 앞으로의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데 비해 싸가지는 현재의 상태를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싸가지'는 '있다/없다'와 결합하는 데 비해 '싹수'는 '싹수가 있다/노랗다'로 주로 사용되는 것처럼 다른 말과의 결합도 약간 다르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싸가지'가 경상도 사투리 '쏘가지'에서 온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쏘가지'는 '속+아지'로 분석이 가능한데 '싸가지'와 마찬가지로 '속'을 낮추어 부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쏘가지'도 역시 '싸가지'와 의미가 차이가 나고, '쏘가지가 좁다/넓다'로 사용하니까 더 정확한 어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여러 어원설이 모두 정확하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싸가지'가 '싹'에서 왔다고 보는 것이 더 설득력은 있다. 왜냐하면 '싹'에는 기초, 기본과 같은 의미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싸가지'라는 말이 기본 예의, 착한 본성을 의미하는 말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의미의 중심을 보면 '싸가지'라는 말을 들어서 기분 나쁠 일이 없다. 그렇지만 어원을 알아도 기분이 나쁜 이유는 바로 어떤 말을 낮출 때 사용하는 '아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지'와 비슷한 말로는 '머리'가 있다. '인정머리, 버르장머리'와 같은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머리'라는 말 한마디가 붙자 어감이 크게 차이가 난다. 그냥 '염치가 없다'고 해도 기분이 나쁜데, 대놓고 '얌통머리 없다'고 하면 싸움이 일어난다. 누군가의 인격이나 인성에 대한 판단을 하는 것 자체가 낮은 사람에게 하는 것인데다, '싸가지' '야마리' '얌통머리'와 같이 낮잡아 이르는 말을 사용한다면 상대를 두 단계나 낮추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능인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