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국회 방문 문민정부 후 12번

입력 2013-09-14 07:19:26

YS 3번·노무현 전 대통령 5회 '최다'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취임식 이후 처음으로 국회를 방문한다.

박 대통령의 이번 국회 방문은 여야의 극한 대치 상황을 풀기 위해 대통령이 직접 제안해 이뤄진 것이다. 이 때문에 역대 대통령이 본회의 시정 연설을 목적으로 했던 지금까지의 대통령 국회 방문과는 배경이 다르다는 게 정치권의 해석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5선 의원 출신의 행정 수반인 박 대통령은 '국회의 권위'를 존중한다는 차원에서 '국회 회담'이라는 파격을 선보인 것"이라고 이번 국회 회담의 의미를 부여했다. 지금까지 역대 대통령들은 야당의 대표 혹은 당수를 안방인 청와대로 불러 '영수회담'을 가졌으나, 박 대통령은 스스로 국회를 방문하기로 결심하고 야당에 제안했다는 것이다.

문민정부 시대를 연 김영삼 전 대통령부터 이명박 전 대통령까지, 현직 대통령의 국회 방문은 취임식을 제외하고는 모두 12번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1993년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지도자회의 및 한'미정상회담 결과 보고를 위해 국회를 찾는 등 재임기간 동안 모두 세 차례 국회 본회의에서 연설을 했다. 다음 정권 바통을 이어받은 김대중 전 대통령도 2000년 16대 국회 개원식 때 국회를 찾아 본회의에서 연설을 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5차례나 국회에 갔다. 대부분이 시정연설이었으나, 2004년 1월에는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본회의 상정을 앞두고 여야 대표와 국회의장에게 협조를 요청하기 위해 방문했던 전례가 있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당선자 신분이었던 2008년 1월 여야 원내대표단과 국회에서 만나 정부조직법 개정과 총리 인사청문회 등에 협조를 구했다. 당선 이후에는 2008년 7월과 11월 국회 본회의장에서 두 번 연설을 했다.

또 2011년 11월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비준 동의를 두고 대립하던 여야 지도부를 국회에서 만나'선(先) 발효-후(後) 재협상'이라는 새로운 제안을 하기도 했다.

한 정치권 인사는 "현직 대통령이 청와대가 아닌 국회에서 야당과 '정국관련 회담'을 하자고 제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특히 이번 회담의 장소가 청와대가 아닌 국회가 된 것은 박 대통령의 아이디어인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끌고 있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