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내놓은 스마트폰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예금 조회와 계좌 이체, 금리, 환율, 금 시세 조회 등 기본적인 금융서비스뿐만 아니라 트위터나 위치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차별화된 부가서비스를 앞다퉈 내놓고 있는 것이다.
◆트위터로 빠르고 간편하게
대구은행은 최근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한국트위터(twtkr.com)에 공식 트위터(@DGBmobilebank5)를 개설했다. 대구은행 트위터를 친구로 등록하면 각종 사진이나 글, 동영상 등을 볼 수 있다. 업데이트된 정보는 대구은행 트위터를 팔로잉하는 사용자들에게 즉시 전달되고, 다시 이들 사용자의 팔로어들에게 전해진다.
대구은행은 DGB 홍보대사 20명과 환경기자단 7명을 팔로어로 활용해 지속적인 팔로잉을 유도하고 유머나 관심사항, 이슈 등 개인들에게 흥미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가령 국제육상선수권대회가 열리는 날 대구은행이 '이 글을 보고 오시는 분 다섯분께 무료 입장권을 드립니다'라는 글을 올리면 글을 본 팔로어가 찾아와 입장권을 받아가는 식이다.
또 영업점 주변에 있는 팔로어들에게 신상품이나 이벤트 문자를 전달하거나 주변의 맛집이나 서비스, 제품 등도 홍보하는 마케팅도 벌일 계획이다. 고객들은 은행을 이용하다 생긴 불만도 트위터를 통해 제기할 수 있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트위터를 이용하면 지역 내 다양한 고객들과 빠르게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별도의 비용없이도 홍보와 마케팅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신한은행도 은행 상품을 가까운 친구에게 소개해주는 SNS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GPS(위성항법장치)를 활용한 증강현실서비스로 갖가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GPS를 통해 자기 위치를 찾고 주변 현실에 필요한 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전달하는 서비스다.
신한은행은 아이폰의 애플리케이션인 '포스퀘어'를 도입해 가까운 지점이나 현금입출금기를 안내하거나 백화점 쿠폰 등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지점별 대기자가 몇 명이나 되는지 정보를 제공해 고객이 빠르게 은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국민은행도 증강현실을 이용한 아파트 시세 및 매물 정보 확인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이다. 스마트폰으로 근처 아파트를 바라보기만 해도 매물과 시세를 알 수 있다. 하나은행은 바코드를 활용한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상품의 바코드만 스마트폰으로 인식하면 대형마트나 인터넷쇼핑몰의 최저가를 알려준다. 또 ATM 근처에만 다가가도 수수료 면제 쿠폰을 스마트폰으로 받을 수 있다.
농협도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사무소 위치나 쇠고기 및 농산물 이력을 조회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할 계획이다. 하나금융그룹의 IT자회사인 하나INS는 '연락처그룹마스터'와 '금융용어사전' 등 2종의 아이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애플 앱스토어에 등록했다. 연락처그룹마스터는 아이폰의 연락처을 그룹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 등록 3일만에 무료 유틸리티 분야 1위를 기록했다.
금융용어사전은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권에서 주로 사용되는 금융용어 및 관련경제 용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스마트폰의 성능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차원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은 미래 잠재 고객을 확보하고 가입자 확대를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트위터(Twitter)란?
무료 소셜 네트워킹 겸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 외국 서비스이고 기본 언어가 영어인 덕택에 트위터에 가입한 전 세계 누구와도 얘기할 수 있고 나아가 친구도 될 수 있는 도구이다. 사용자들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인스턴트 메신저, 전자 우편 (e-mail) 등을 통해 140자 이내의 글귀인'트위트'(twit)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트위트는 팔로어를 통해 누구나 볼 수 있으며 댓글을 달거나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되기도 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웹사이트에 접속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고 간편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증강현실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준다. 가령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시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