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기업은 일자리 창출에 더 많이 노력해야

입력 2010-01-18 11:16:13

국내 대기업의 고용흡수력이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제출된 주요 기업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10대 그룹의 고용 인원은 44만 5천159명으로 4년 전인 2005년(43만 9천776명)에 비해 불과 1.2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를 상장사 전체로 확대하면 사정은 더 나쁘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546개 상장회사의 매출은 2005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24% 증가한 반면 고용은 오히려 2% 줄었다.

이 같은 통계 수치는 기업의 존재 이유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 기업이 국민의 생활과 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고용 확대이다. 고용을 통해 국민들의 생활과 복지에 기여하지 못하는데 기업이 아무리 많은 이익을 낸들 무슨 소용이겠는가.

다행히 대기업들은 올해 투자와 고용을 대폭 늘리겠다고 한다. 30대 그룹은 지난해보다 16.3% 늘어난 87조 150억 원을 국내에 투자하고, 신규 채용 인원도 7만 9천199명으로 8.7%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세계적 경제위기를 맞았던 2008년 신규 채용을 13.9% 줄인 것을 감안하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좀 더 적극적인 고용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자동화 설비 증가로 생산성이 높아져 고용 인원이 늘어나지 않는 구조적 문제가 있지만 이를 탓하며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신성장 분야 투자 확대를 통한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면 고용을 늘릴 수 있다. 신성장산업에 대한 투자는 모험이 수반될 수밖에 없지만 모험 없이 안주만 해서는 기업은 생존할 수 없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향후 8년간 국내에 300만 개 일자리를 만드는 '300만 일자리 창출 위원회'를 만들었다. 이런 움직임이 제스처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결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