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기상대 이전을 두고 달서구와 동구 간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떠나보내는 동구는 웃음이 만발한 반면 이전 예정지인 달서구는 벌써부터 거센 반발 기류를 보이고 있다. 동구는 신암동의 재개발이 가능해졌고 달서구 경우 기상관측으로 인근 건물이 고도제한을 받는 등 주변 개발이 큰 영향을 받는다는 이유 때문이다.
20일 오후 달서구 두류1동 주민센터에서 지용성 대구 시의원과 두류동 지역 구의원들이 통·반장 등 주민대표 30여명을 대상으로 기상대 이전관련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지 의원은 19일 달서구 감삼동을 시작으로 22일까지 기상대 이전 예정지 주변 6개 동을 돌며 주민들의 의견수렴을 하고 있다.
지 의원은 "기상관측 시설 경우 관측장애물 간 거리가 그 건물 높이의 10배 이상을 유지하도록 돼 반경 600m이내에는 20층 이상의 건물을 짓지 못한다. 장래 주변 개발이 난항을 겪게 될 것"이라며 "재산권이 걸려있는 문제인데도 해당 구청과는 논의도 거치지 않는 밀실행정을 펼쳤다"고 주장했다. 조만간 이들은 '대구기상대 이전 반대 추진위원회'를 구성, 이전 백지화 운동에 나설 계획이다.
반면 동구는 환영일색이다. 도시재정비촉진시범사업으로 지정된 신암동 내에 대구기상대가 위치해 주변 건축제한으로 그동안 개발에 지장을 받았다. 주민들은 대구기상대 이전으로 신암재정비촉진 시범사업은 다양한 건축 배치와 기반시설 확보 등 도시재생사업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구청은 기상대 자리에 인문계고 유치 계획을 세우고 있다.
대구시는 달서구 일부 주민들의 반발에 황당해하고 있다. "기상청과 협의해 고도제한을 4배의 이격거리로 확정했기 때문에 고도제한으로 주변지역의 피해는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두류정수장 주변지역은 1·2종 일반주거지역(4~7층)으로 묶여 건축물 높이 제한을 받고 있기 때문에 기상대로 인해 주변개발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대구시는 동구 신암동에 있는 대구기상대를 기상청과 합의해 2012년까지 달서구 두류동 현 두류정수장 부지(1만6천500㎡)로 옮길 계획이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