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예측 통계 '제각각'…시행주체 의도 반영 탓

입력 2007-01-23 10:06:57

'통계의 허점인가. 행정기관의 부풀리기인가?'

인구예측을 할 때마다 시행 주체에 따라 그 수치가 확연히 달라진다. 예측기법이나 데이타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지만 시행 주체의 의도가 반영돼 있는 탓이다.

최근 대구시와 경북도가 2020년의 '도시기본계획'과 '경북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을 각각 수립하면서 예측한 인구는 현재보다 늘어난 275만명과 300만명이다. 대구와 경북 인구가 몇년전부터 감소 추세로 돌아선 것을 감안하면 현실과 크게 동떨어진 전망치다.

본지 기획탐사팀과 계명대 조기경보시스템연구소의 2020년 인구 전망은 각각 237만명과 208만명으로, 대구시와 경북도의 추정치와 큰 차이를 보인다. 통계청의 경우 대구는 245만명, 경북은 229만명이다.

통계학자들은 시행 주체의 의도에 따라 가공된 목표치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대구시의 경우 2020년 인구예측에서 1999-2004년 인구 증가율(년 0.18%)을 기본으로 자연 증가인구가 현재보다 10만명 늘어나고 외부 유입 인구도 10만명 증가해 275만명이 되는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이는 최근 대구 인구 평균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떨어진 사실을 아예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한 관계자는 "행정기관은 정책수립 과정에서 예산, 인원 확보를 위해 예측 인구를 높게 잡는게 보통"이라면서 "16개 시도의 목표 인구를 모두 합하면 한국 전체 인구의 두배 가까이 될 것"이라고 했다.

반면에 본지와 계대 연구소는 달성군이 대구시에 편입된 1995년부터 2006까지의 인구 추이를 엄격하게 적용했기 때문에 2030년 큰 폭의 인구감소 결과가 나왔다는게 송규문 교수(계명대 통계학과)의 설명이다.

기획탐사팀=임상준기자 zzun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