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의 피라미드, 파리의 개선문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들 건축물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 해답을 '균형미'에서 찾는다면 결코 틀린 답은 아닐 것이다.
여기에는 인간이 보기에 가장 아름다운 비율 즉 '황금비'가 숨겨져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 발견된 '황금비'는 르네상스의 볼로냐의 수도승 루카 바티리오에 의해 '신성비례(神聖比例)'라고 이름할 정도로 중요시되었다.
실제 사람들에게 무작위로 여러 가지 사각형을 제시한 후 그 중에서 눈에 가장 안정적으로 느껴지거나 눈에 제일 먼저 들어오는 직사각형을 고르라면 인종,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대개 황금비율을 내재한 직사각형을 고른다고 한다.
황금비는 어떤 선분을 둘로 나눌 때, 작은 쪽과 큰 쪽의 비가 5:8이며 비율로는 약 1.168을 나타낸다.
황금비는 사람들이 편안하고 아름답게 느끼는 비율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시각에 호소하는 도형이나 입체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기원전 4700년 전에 만들어진 피라미드는 지금까지 남아있는 유물 중 황금분할을 가장 잘 적용한 건축물로 손꼽히고 있다.
정사각뿔로 이루어진 피라미드의 높이는 146.6m, 밑면의 한 변 길이가 230.4m로 그 비율이 약 1.618034...를 나타내고 있다.
비너스상의 경우도 배꼽을 기준으로 상반신과 하반신의 비가 1: 1.618이고, 상반신에서 머리에서 목까지와 목에서 배꼽까지의 길이 비 또한 황금비를 이룬다.
하반신은 발끝에서 무릎까지와 무릎에서 배꼽까지 길이의 비가 황금비를 이룬다.
몬드리안의 화면분할에서도 의도적으로 황금비가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우리나라 건축물 중 배흘림 기둥으로 유명한 부석사 무량수전의 바닥의 가로와 세로의 비 또한 황금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황금분할은 우리의 인체 속에서도 반영되고 있는데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인체 비율에 대한 그림을 보면 손가락 뼈 사이, 얼굴 윤곽 등에서 황금비를 발견할 수 있다.
또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액자, 창문, 책, 신용카드 등에서도 황금비율이 적용되고 있다.
신용카드의 경우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8.6cm, 5.35cm로 그 비가 1.607로 황금비율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학은 이처럼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곳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수학은 어떤 특정 분야에만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아주 옛날부터 다양한 분야에 스며 숨쉬고 있었던 것이다.
김은영(대구성산초등 교사)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